
2024년 10월25일 인도 파니파트시 동쪽 외곽에 있는 섬유 표백공장의 노동자 할림(25)의 세 살배기 딸 하마라가 표백 작업 중인 옷 더미 위에서 놀고 있다. 이 옷들은 독성 표백 용수에 담갔다가 뺀 것이다. 조윤상 피디
내가 사는 동네엔 옷을 수선해주는 ‘담담수선실’이라는 조그마한 가게가 있다. ‘낡거나 헌 물건을 고친다’는 수선의 낱말 뜻처럼, 헌 옷을 고쳐주는 가게다. 옷장 속 옷 가운데 품이 커서 몸에 맞지 않거나 유행이 지나 선뜻 손이 가지 않는 것들을 갖고 가끔 이 가게를 찾는다. 그러면 가게 주인이 색색의 실과 재봉틀을 이용해 맵시 있는 옷으로 바꿔준다. 1996년에 산 무스탕 재킷도, 2000년대 초반에 산 정장 재킷도 얼마 전 그렇게 고쳤다. 헌 옷의 생명을 연장한 것이다.
계절이 바뀔 때마다 동네에 있는 헌 옷 수거함에 넣는 옷도 다른 사람에게 가서 생명이 연장되는 거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중고거래를 하는 ‘당근마켓’ 같은 플랫폼을 통해 파는 것보다는 헌 옷 수거함에 ‘기부’하는 행위에 조금 더 뿌듯함의 점수를 얹어주곤 했다. 하지만 이 생각에는 아무런 근거가 없다. 헌 옷 수거함의 옷이 어디로 가는지 아무런 공식 기록이 없기 때문이다. 헌 옷 수거함은 중앙정부나 지방정부가 아니라 민간회사 소유여서, 얼마나 많은 헌 옷이 수거되는지 확인할 통계도 없다.
한겨레21 취재팀이 헌 옷과 헌 신발에 갤럭시 ‘스마트태그’와 인공위성 기반의 지피에스(GPS·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추적기를 달아 헌 옷 수거함에 넣은 뒤 이들의 경로를 추적해보기로 한 까닭이다. 추적기를 부착한 옷은 몇 달이 지난 뒤 일부는 아시아권 국가에서, 일부는 태평양 건너 남미권 국가에서 신호를 보내왔다. 취재팀은 이 가운데 인도와 타이 두 곳으로 직접 가봤다. 그리고, 세 살 하마라를 만났다.
광고
하마라는 ‘헌 옷의 수도’라 불리는 인도 파니파트시 동쪽 외곽에 있는 섬유 표백공장 노동자 할림(25)의 딸이다. 표백공장은 헌 옷을 재가공하기 위해 옷을 구성하는 섬유의 색깔을 빼는 작업을 하는 곳이다. 문제는 표백에 강력한 독성 표백제와 계면활성제, 각종 중금속으로 이뤄진 화학물질 혼합수가 쓰인다는 점이다. 별다른 보호장구도 없이 이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독성물질에 노출돼 호흡기나 폐 질환 관련 약을 먹으면서 근근이 버티고 있다.
하마라는 이 공장에 오두막을 짓고 가족과 함께 살고 있다. 그러니까 공장은 하마라를 비롯한 할림의 아이들이 온종일 뛰노는 놀이터이기도 하다. 공장 마당에는 독성이 가득한 화학물질 혼합수에 담갔다가 뺀 헌 옷이 더미로 쌓여 있고, 옷더미 인근에는 혼합수가 냇물처럼 흐른다. 하마라는 그런 곳을 맨발로 오가고 온몸을 비비며 독성물질이 묻은 당근을 간식으로 먹는다.
표백은 그나마 헌 옷의 재활용 과정 중 하나다. 수거함에 버려지는 대부분의 헌 옷은 인도나 타이 같은 아시아권 국가 어딘가에 쌓여 쓰레기 산이 된다. 쓰레기 산에서 썩어가는 헌 옷은 독성 침출수로 변해 강으로 흘러간다.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은 국가 시민들의 무분별한 소비가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은 국가의 생활 환경은 물론이거니와 주민들의 삶마저 위협하고 있다.
그러니 무심코 옷을 버리는 일이 기부가 될 수는 없다. 조금이라도 옷을 적게 사고, 산 옷은 조금이라도 오래 입는 것이 세계 시민의 윤리적 삶이라 할 수 있다. 2025년을 여는 한겨레21 제1545호가 한 권을 통틀어 하고자 하는 이야기다.
광고
이재훈 편집장 nang@hani.co.kr
※‘만리재에서’는 편집장이 쓰는 칼럼입니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 886일 만에 서초동으로…경호처 40여명 차량서 상주 경호
윤석열·김건희 관저 퇴거…5분 ‘주먹 불끈’ 쥐며 지지자에 인사
장순욱 변호사 “윤석열 특이한 캐릭터…검사 때는 문제 되지 않았을 것” [논썰]
윤석열 온다고…아크로비스타에 봉황 새긴 “수고하셨습니다” 펼침막
‘광명 공사장 붕괴’ 고립 노동자 1명 목소리 확인…“구조장비 접근 어려워”
김건희, 계엄 이후 첫 포착…서초동 사저로 이동
‘MKGA’ 빨간 모자 쓴 윤석열…지지자들 “더 잃을 게 없다” 눈물
죽에 커피 섞어…취객 160명에 1억5천 뜯어낸 택시기사
[속보] ‘광명 신안산선 붕괴 공사장’ 주민 대피령…실종·고립 2명 수색 중
[단독] 홍준표 쪽, 5600만원 명태균 여론조사비 ‘대납’ 문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