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100점 맞은 아이, 무조건 안아주기!

등록 2013-10-02 14:12 수정 2020-05-03 04:27

‘사교육 걱정 없는 세상’이 오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점수로 아이들을 한 줄로 세우는 제도가 없어져야 하는 것도 그중 하나다. 그러나 이 제도를 바꾸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점수로 한 줄로 세우는 ‘나쁜 제도’는 사실 의외로 우리 모두에게 무척이나 익숙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깨어 있는 부모라고 해도, 한국 사람에겐 사람을 한 줄로 세우고자 하는 ‘본능적 충동’이 마음속에 다 있다. 그런 ‘나쁜 의식’이 버젓이 살아 있는 한, 점수에 따라 한 줄로 세우는 ‘나쁜 제도’는 유지될 것이다. 그러므로 나쁜 제도를 없애는 일은 내 속의 나쁜 의식과 우리가 함께 싸우는 일로부터 시작돼야 한다.

1

1

아마 이런 경험을 한두 번씩 다 해봤을 것이다. 초등학교 다니는 아이가 어느 날 집에 오더니 기쁜 목소리로 이렇게 말한다. “엄마, 나 수학 100점 맞았어요.” 그러면 우리는 대견한 마음에 칭찬을 해주려 한다. 그러나 그 순간 문득 마음속엔 아이에게 한 가지 묻고 싶은 게 떠오른다. 그것은 거의 본능이다. 그게 무엇일까? 그렇다. “너 말고 100점 맞은 아이 몇 명이나 있니?”, 이런 질문이다. 이는 진보·보수 할 것 없이 예외가 없다. 우리 질문에 아이가 “우리 반 30명 중에서 15명이 100점 맞았어요” 이렇게 대답한다면, 칭찬하려는 마음은 순식간에 사라지고 “아무나 100점 받는데 못 받는 게 이상하지’라는 시큰둥한 심리가 생긴다. 그런데 아이가 “저 외에는 한 명도 없어요” 그렇게 말한다면, 우리는 비로소 “어이구, 내 새끼!”라고 말하며 잠시 유보했던 칭찬을 쏟아붓게 된다.

그 본능을 죽이라는 얘기가 아니다. 오랫동안 한국 사람들의 핏속에 흐르는 ‘점수로 사람을 줄 세우려는 본능’을 없애는 것은 어렵다. 이렇게 해보면 어떨까. 아이가 “엄마, 나 수학 100점 맞았어요!”라고 말할 때, “너 외에 너희 반에 100점 맞은 아이가 얼마나 되니?”라고 묻지 말기! 가슴속에 그렇게 묻고 싶은 충동이 있는 건 어쩔 수 없다 치고, 그 충동이 내 입 바깥으로 새나가는 것만은 막아보기! 그렇게 아이에게 ‘100점 받은 아이들 수를 묻지 않는 일’을 여러 번 반복하다보면, 그것이 습관이 되어 나중에는 충동도 약해진다.

물론 나만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 이웃들의 의식도 바꾸어야 세상이 달라진다. 캠페인 이름은 이렇게 말랑말랑하게 하는 것이 좋겠다. ‘아이가 수학 100점 맞았다고 할 때, 너 외에 100점 맞은 아이가 너희 반에 몇 명이니?라고 묻지 않기 캠페인’. 줄여서 ‘100점 맞은 아이들 수 묻지 않기 캠페인’. 캠페인 이름이 거창할 필요가 뭐 있는가. 이해하기 쉬우면 그만이다. 부모들이 이런 운동에 익숙해수록 ‘점수·등수 줄 세우기 본능’은 약해질 것이다. 그러면 자기 의식 바깥 세상에서 사람을 한 줄로 세우는 나쁜 제도가 있을 때, 문득 그것이 몹시 불편해지고, 그 나쁜 제도와 법을 바꾸라는 요구에 나서게 될 것이다. 제도는 그렇게 바뀌는 것이다. 무릇 삶과 요구가 일치해야 힘이 있고, 그런 힘이 많아져야 세상이 바뀌는 법이다.

송인수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대표 *‘레디 액션!’은 조금 더 나은 세상을 위한 소소한 제안을 하는 코너입니다. 독자 여러분에게도 문이 활짝 열려 있습니다. 제안하고 싶은 ‘액션’을 원고지 6~7장 분량으로 적어서 han21@hani.co.kr로 보내주세요. 레디 액션!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