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달>
무코다 구니코 지음, 김윤수 옮김, 2007년 6월20일 마음산책 펴냄
에이코는 무를 잘못 썰면 자동적으로 손이 움직여서 먹어버린다. 그는 지금은 별거 중인 남편과 결혼반지를 맞추고 돌아가던 날 낮달을 보았다. “어머, 달이네.” 남편은 낮달이 뭔지도 모르는 남자였다. “무슨 뚱딴지 같은 소리야. 대낮에 무슨 달이 보인다고 그래.” 정말 달이 떠 있는 것을 본 남자는 아등바등 밑만 보고 왔노라 이야기한다. 둘이 달을 보던 때가 돌이켜보면 가장 행복했다. 낮달은 무를 닮았다. “잘못 썬 무 같지 않아. 얇게 썰다가 잘못 썬 무 말이에요.”(‘무달’) 가쓰는 다쓰코의 집에서 기르는 개 가게토라에게 생선을 갖다주는 생선가게 남자다. 그는 가게토라를 산책시키면서 외국 영화 주제가 같은 곡을 흥얼거린다. 다쓰코가 들으라는 듯이. 그는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큰 개집을 마당에 만든다.(‘개집’)
<수달>에 나오는 13개 단편 제목의 대부분은 사물이다. 이 사물들은 ‘모티브’란 무엇인가, 모티브가 얼마나 깊이 있게 소설 속에 자리잡을 수 있나를 보여준다. 에이코와 남편의 불화는 그의 ‘완벽주의’ 때문이다. 일일이 설명하지 않아도 그의 버릇과 ‘무달’ 일화는 그의 이런 성격을 잘 보여준다. 오갈 데 없는 가쓰는 ‘집’과 ‘가정’을 갖고 싶었다. 그가 만든 개집은 그래서 어처구니없이 커다랬다.
무니코는 1천여 편의 각본을 쓴 방송작가다. 아주 드물게 단편을 발표했는데, ‘수달’ ‘개집’ ‘꽃 이름’ 이 세 작품만으로 1980년 나오키상을 받았다. 이듬해 1981년 비행기 사고로 유명을 달리했다. 해설을 덧붙인 소설가 미즈카미 쓰토무는 단편소설을 쓰려는 사람이라면 <수달>의 한두 편을 베껴보라고 권한다. 대신 나는 술이 깨지 않는 날, 머리맡에 두고 복용하곤 한다.
구둘래 기자 anyone@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해리스로 기운 선거당일 승률 예측…“50:50 → 56:43”
이번 미 대선, 개표 빨라지지만…경합주 접전 땐 재검표 ‘복병’
젤렌스키 “북한군과 첫 전투” 공식 확인
회견 이틀 전 “개혁 완수” 고수한 윤...김건희 문제, 인적 쇄신 어디까지
공익신고자 조성은 “명태균 게이트, 고발사주가 예고편”
SNL, 대통령 풍자는 잘해도…하니 흉내로 뭇매 맞는 이유
황룡사 터에 멀쩡한 접시 3장 첩첩이…1300년 만에 세상 밖으로
해리스, 출구조사 호감도 48%…트럼프는 44%
“필수템만 100만원”…‘고급 취미’라는 러닝, 뭘 사야 하길래
‘까르보 소녀’에 역조공하러 미국행…삼양의 ‘찾아가는’ 불닭 마케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