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캘리포니아 요세미티국립공원 마리포사 숲에서 2023년 10월7일 불에 타고 남은 나무 밑동(맨 앞 오른쪽) 등 화마에 그을린 흔적 사이로 탐방객들이 지나가고 있다. 2022년 7월 워시번 화재가 남긴 상처다. 지름이 사람 키보다 훨씬 큰 나무가 대형산불 예방 목적으로 베어져 쓰러져 있다.
지구상에서 가장 큰 거인나무 숲에 화마가 들이닥쳤다. 건물 30층 높이의 자이언트세쿼이아(Giant Sequoia) 500여 그루가 밀집한 미국 캘리포니아 요세미티국립공원 남쪽의 마리포사 숲에 2022년 7월 불길이 번졌다. ‘워시번(Washburn) 화재’라는 이 불로 약 20㎢의 숲이 탔다. 지구온난화가 불러온 폭염과 가뭄 등 이상기후가 수년 동안 캘리포니아에 이어져, 서부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인 캘리포니아는 해마다 대형산불로 곤욕을 치렀다.
다행히 이곳에서 가장 유명한 나무인 ‘그리즐리 자이언트’(Grizzly Giant)는 불길을 피할 수 있었다. 요세미티에서 두 번째로 크고 세계에서 스물여섯 번째로 큰 이 나무의 키는 63.7m, 부피는 962.9㎥, 무게는 907t으로 1990년 공식 측정됐다. 살아 있는 거목을 잘라 나이테를 확인할 수는 없어 다른 나무와 지름을 비교해보니, 2천 살에서 3천 살 사이의 나이로 추정됐다.
수천 년의 세월 동안 그리즐리 자이언트는 셀 수 없는 고난을 버텨냈다. 번개도 여러 차례 맞았을 것이고 가뭄, 폭풍, 눈보라도 견뎠다. 실제 이 나무의 밑동에는 수백 년 전에 불탄 10여m 크기의 상처가 남아 있다. 나무의 중심도 남쪽으로 5도, 서쪽으로 1.5도가량 기울었다.
광고
5천 년 넘게 원주민이 살아온 요세미티 계곡과 마리포사 숲에 1850년대 들어 백인들의 발길이 미쳤다. 캐나다 태생의 게일런 클라크는 심각한 폐질환을 치료하러 캘리포니아 와워나 지역으로 이주해 산속을 탐험하다 이 숲을 발견했다. 그는 숲에 머물며 자이언트세쿼이아의 신비함을 사람들에게 알리려 애썼다. 그리고 숲을 보호하는 법안을 작성해 의회를 설득했다.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1864년 요세미티 계곡과 이 숲을 ‘공공 사용 휴양지’로 보호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국립공원화를 이끌어낸 주인공 그리즐리 자이언트와 거인나무들이 화마를 피해 오늘 이 순간도 탐방객을 맞는 건, 국립공원과 소방 당국의 오랜 대비 덕분이다. 그들은 50년 전부터 산불의 연료를 제거해왔다. 감염병으로 고사한 나무, 바람에 쓰러진 나무, 가뭄에 말라붙은 나무를 미리 솎아 베어냈다. 또 숲의 낙엽을 걷어내고 바닥에 썩어가는 유기물을 파내어 제거했다. 잦아진 산불로 봄마다 큰 인명과 재산 피해를 겪는 우리가 새길 값진 교훈이다.
기후변화는 수천 살 거목에도 치명적인 위협이다. 뿌리에서 얻은 수분을 수십m 위로 충분히 끌어올려야 성장을 이어갈 수 있다. 한데 물은 부족하고 열기는 높아만 간다. 현재 북미 지역에는 자이언트세쿼이아가 약 8만 그루 남아 있다. 200년 전과 비교하면 단지 2%만 살아남았다.
마리포사 숲(미국 캘리포니아)=사진·글 이정우 사진가
광고

그리즐리 자이언트가 곧 걸음을 뗄 것 같은 자태로 탐방객을 맞고 있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계엄·포고령·국회장악…하나라도 중대 위헌이면 윤석열 파면
아이유, 극우 ‘좌파 아이유’ 조롱에 “감당해야 할 부분”
‘MBC 적대’ 이진숙, 지상파 재허가 심사 강행
“윤석열, 국민 무서운줄 몰라” 시민들, 만장일치 파면 촉구
초등학교서 마시멜로 태우며 화산 실험…14명 병원행
“저희 어무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클릭…거기가 어딥니까
한덕수·최상목·이복현 ‘눈치게임’ 시작 [그림판]
윤석열 운명, ‘헌법 수호 의지·국민 신임’ 두 잣대에 달렸다
이복현 “사의 표명했지만 부총리가 경거망동 안 된다며 만류”
국힘 박충권 “마은혁은 공산주의자” 고함에 몸싸움 직전까지 간 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