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이 고통을 알아본다. 참사는 참사를 공감하고, 눈물은 눈물과 연대한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전쟁의 공포를 겪은 이들이 한국에서 세월호 참사 가족들과 섞여 울었다.
가족을 기다리는 울음으로 가득한 전남 진도실내체육관과 팽목항에서 2명의 외국인은 분주했다. 아프가니스탄인 샴스 사밈(27·남)과 마하크 파란기스(26·여)는 쓰레기를 분리수거하고, 화장실을 청소했다. 지원 물품을 나르고, 음식을 만들었으며, 설거지도 했다. 세월호 사고 소식을 듣고 그들은 “진도로 갈 수밖에” 없었다. 그들은 “기다림의 고통”을 알았다. 납치된 가족의 생사를 모른 채 20여 년을 기다려온 그들의 심장에, 시커먼 바다 속에 갇힌 아들딸을 기다리며 오열하는 부모의 애통이 겹쳐졌다. 체육관과 항구를 오가며 그들은 4월부터 6월까지 20여 일을 자원봉사했다.
이상한 소리 내고 크게 흔들리던 ‘그 배’사밈은 아프간 수도 카불에서 태어났다. 2007년 그는 매일 방송되는 참혹한 뉴스에 떨었다. 아프간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분당샘물교회 교인들이 탈레반에 납치·살해됐을 때 사밈은 한국에 죄스러웠다. 아프간 직업훈련원에 파견 온 한국인 자문관들의 통역을 도우며 그는 한국이란 나라가 궁금해졌다. 파란기스는 최근 대형 산사태로 2500여 명이 파묻힌 아프간 북부 바다크샨이 고향이다. 그는 유학 직전 여권운동 단체에서 일했다. 단체 대표는 여성의 사회활동에 억압적인 아프간을 떠나 한국에서 공부할 것을 파란기스에게 권했다. 두 사람은 2008년 한국 정부 국비장학생에 뽑혀 유학왔다. 선발 학생 5명 중 2명이었던 그들은 한국에 온 뒤 연인이 됐고 약혼했다. 사밈과 파란기스는 한국 대학에서 각각 생명공학과 국제관계학을 전공했다.
“그 배가 맞다.”
4월16일 세월호 침몰 장면을 뉴스로 접하며 사밈과 파란기스는 ‘그 배’를 떠올렸다. 지난해 제주도 여행을 가면서 두 사람은 ‘그 배’를 탔다. “도색을 여러 차례 할 만큼 많이 낡은 배”였다. “인천에서 출발한 배가 제주도에 가까워지자 이상한 소리가 나고 크게 흔들려 많이 무서웠다”고 사밈은 기억했다.
참사는 참사의 악몽을 불러냈다. 1995년 일곱 살이던 파란기스는 “늘 따뜻하게 돌봐줬던 삼촌”을 잃었다. 카불로 진격해온 탈레반이 정부 공무원이던 삼촌을 납치했다. 가족은 ‘생’과 ‘사’ 중 그가 어느 쪽에 속했는지 알지 못한 채 지금도 기다리고 있다. 전쟁은 사밈의 삼촌도 앗아갔다. ‘점령군 소련’에 대항했던 무자헤딘이 정부군 소속 군인이던 삼촌을 죽였다. 그의 친한 친구는 지난해 대법원 정문 앞에서 발생한 자살폭탄 테러 때 사망했다. 조국의 아픈 참화는 세월호 참사를 지켜보는 그들을 진도로 떠밀었다. 파란기스는 말했다. “몸이 굳을 만큼 심한 스트레스로 집에 가만히 있을 수 없었어요. 자원봉사라도 하면 좀 편해질 것 같았어요.”
두 사람은 일이 맡겨지길 기다리지 않았다. 4월20일 진도에 도착한 그들은 자발적으로 일을 찾아 움직였다. 한국인들 사이에서 자원봉사하는 그들은 눈에 띄었다. 밤이면 체육관을 울리는 엄마들의 울음소리에 그들도 잠을 자지 못했다.
“돌아올 때까지 여기서 기다릴 거야.”
한 엄마가 팽목항에 써붙인 글이 파란기스를 충격했다. 항구를 감싼 부모들의 울음을 듣고, 엄마가 남긴 기다림의 글을 읽으며, 파란기스도 울음을 참지 못했다. “갑자기 심한 우울증이 찾아와 몸이 많이 아팠다”고 그는 떠올렸다. “죽은 모습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지 않는 한 살아 있을 거란 믿음을 버릴 수 없어요. 우리 가족도 돌아오지 않는 삼촌을 20년이나 기다렸어요. 돌아올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세월호 실종자 어머니는 앞으로 얼마나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할까요.”
진도에서 버스를 타고 경기도 안산 정부합동분향소 앞까지 갔을 때도 파란기스는 끝내 분향소 안에 발을 들이지 못하고 되돌아왔다. 그는 진도체육관에 마련된 심리치유센터를 찾아가 의사와 상담했다. 자원봉사 대신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의사는 말했다. 파란기스는 거주지인 충남 아산으로 돌아와 한 달 정도 치료를 받았다. 5월20일 두 사람은 다시 진도로 내려갔다.
우울증 왔지만, 치료 뒤 다시 진도행사밈은 “고국의 혼란을 지켜보며 정치에 관심이 많아졌다”고 했다. ‘위험한 나라’ 아프간을 떠나 6년을 살아온 한국을 그들은 ‘가장 안전한 나라’라고 믿었다. 세월호 참사를 보면서 생각이 바뀌었다. ‘책임지지 않는 정치’를 그들은 아프간에서도 자주 겪었다. 5월 초 바다크샨 오지마을에서 폭우와 산사태로 2500여 명이 매몰됐다. 마을 주민 3분의 1이 실종되거나 사망했다. 아프간 정부는 사고 다음날 구조를 중단하며 ‘집단무덤’을 선언했다. 바다크샨은 파란기스의 고향이다. 그의 친척들도 산사태로 사망했다.
사밈은 한국 사회가 보수적이라고 했다. 종교적 보수성이 강한 땅에서 살아온 그의 눈에도 한국은 보수성이 강한 나라로 비쳤다. “아이들이 어른들에게 일방적으로 지도받고 통제받는 문화가 셉니다. 그래서 세월호 희생자가 많았다는 이야기도 들었습니다. 아이들이 자기 생각을 자신 있게 밝히면서 하고 싶은 것과 하기 싫은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사고 73일째(6월27일 기준)를 넘어섰다. 11명의 실종자 가족들이 아직 끝나지 않은 기다림 속에 있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은 각자의 위치에서 ‘세월호와 만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매주 싣습니다. ‘세월호를기억하는시민네트워크’가 진도 현장에서 채록한 아프가니스탄인 자원봉사자들의 구술에 이 추가 인터뷰를 보태 첫 이야기를 띄웁니다.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미친놈’ 소리 들으며 3대가 키우는 정원, 세계적 명소로
김영선 두 동생, 윤 대통령 ‘창원 산업단지’ 발표 전 인근 주택 ‘공구’
“민주주의 망가질 것 같아서”…서울 도심 거리 메운 10만 촛불
‘대통령 이재명’은 가능할까, 법원 말고도 변수는 있다
야당 예산안 감액 처리에 대통령실·여당 “민주, 예산폭주” 반발
한동훈, 정년 연장이 청년 기회 뺏는다는 지적에 “굉장히 적확”
[영상] ‘윤 대통령 거부권’에 지친 시민들의 촛불…“광장 민심 외면 말라”
‘아버지’ 된 정우성 “아들 책임 끝까지…질책은 안고 가겠다”
트럼프 만난 트뤼도 “마약·국경 공조”…관세 철회는 못 듣고 빈손 회담
‘TV 수신료 통합징수법’ 국회 소위 통과에…KBS 직능단체 “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