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멸치 비린내 맡으며 가족사를 추억하다

[입만 살아가지고] 도전, 양배추김치 ①
등록 2010-10-13 10:44 수정 2020-05-03 04:26
양배추김치

양배추김치

1979년에 다음과 같은 일들이 있었다. 그룹 ‘아바’가 마지막 히트곡 와 으로 종일 라디오에 등장했고, 아버지는 섬의 허름한 극장에서 신성일이 나온 을 봤을 테지만 취향상 이나 는 보지 않았을 것이며, 어머니는 세 살이 된 나를 업고 ‘YH 사건’(YH 여성노동자들이 신민당사에서 농성하다 강제 진압된 사건) 뉴스를 보기보다 아마 마이클 잭슨의 를 보며 심심함을 달랬을 것 같다. 그리고, 어머니는 그해 처음 양배추김치를 담그셨다.

양배추김치는 내 가족사의 일부였다. 그런데, 대체 그걸 왜?

“그때는 양배추가 엄청나게 쌌거든. 배추보다 훨씬 싸서 너 세 살 때 한 번 담가봤는데, 우리 식구들은 잘 안 먹어서 나중엔 항상 버렸지. 이상하게 우리 식구들은 잘 안 먹었어. 양배추김치가 처음 담글 때는 사각사각한데, 조금만 익으면 완전히 축 늘어져서 배추김치처럼 익을수록 아삭거리는 맛이 안 나. 그런데 또 어머니 친구는 건강식이라고 가끔 담가먹데?”

광고

“극단적인 맛이구나예~.”

전화를 끊고 미리 인쇄한 조리법을 다시 훑어봤다. 맛을, 상상할 수 없었다. 스타블로거 문성실씨의 양배추김치 조리법을 참조했다. 며칠 전 시장에서 6천원을 주고 사온 양배추를 4분의 1만큼 잘랐다. 한국물가협회 도매가 정보를 보면, 배추 10kg이 2만5천원이고 양배추 10kg은 2만4500원이니 가격은 거의 같았다. 조리법대로 물 1컵에 밥숫가락 두 개 정도 분량의 소금을 녹여 양배추를 절였다. 1시간 동안 숨을 죽여야 했다. 1시간 뒤 숨 죽인 양배추를 물에 헹궜다. 양배추와 대파를 씻느라 이미 손가락 끝마디는 물에 불어 우둘투둘해졌지만, 여전히 맛을 상상할 수 없었다. 이걸 먹는단 말인가.

멸치액젓을 붓고 본격적으로 손을 놀렸다. 조물조물, 멸치액젓의 미끈미끈한 질감이 손가락 끝에 느껴졌다. 양배추는 여전히 뻣뻣했다. 그러나 서서히 지난해 남해의 멸치잡이배에서 맡았던 멸치 비린내가 피어올랐다. 물론, 큼직하게 썬 양배추와 멸치액젓의 식감과 맛이, 잘게 썬 양배추와 드레싱처럼 어울릴지는 여전히 자신 없었다. 뚜껑을 덮고 나서도 오른손에서 계속 멸치액젓 냄새가 진동했다. 키보드에 냄새가 밸 것 같다.

어머니가 최초로 양배추김치를 담그셨던 1979년, 이명박 대통령은 이미 가난한 청년이 아니라 인천제철 대표이사였다. 그가 그때도 양배추김치를 먹었는지는 모르겠다. “배추가 비싸니 내 식탁에는 배추 대신 양배추김치를 올리라”는 이 대통령 발언의 정확한 의도도 알려진 바 없다. 다만, 한 칼럼니스트의 추측처럼 이 대통령이 가난했던 시절 먹던 양배추김치를 떠올리고 그런 지시를 한 것 아니냐는 가능성도, 키보드에 묻은 멸치액젓 냄새만큼은 존재하는 것 같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아직 몇천달러이던 시절, 가난한 공무원의 아내도 양배추김치를 담갔다니 말이다.

광고

고나무 기자 한겨레 정치팀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광고

4월2일부터 한겨레 로그인만 지원됩니다 기존에 작성하신 소셜 댓글 삭제 및 계정 관련 궁금한 점이 있다면, 라이브리로 연락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