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둘래 기자 anyone@hani.co.kr
낚시[naksi]
① 명사, 英. fish. ‘낚다’에서 온 명사형. 물고기를 잡기 위해 미끼를 꿰는 작은 쇠갈고리 혹은 그 행위(=낚시질). 미끼를 끼어야 하므로 뾰족하고, 그게 빠지지 않아야 하므로 구부러져 있다. 몸을 고요히 하고 눈만으로 찌를 노리다가 움직임이 있으면 요령 있게 낚아챈다. 한 자가 넘는 고기를 잡았을 때 월척이라고 부른다. (예) 한강 고수부지에서 낚시하는 사람이 있더라.

② 파생어: 네티즌들의 ‘클릭’(입질)을 유도하는 행위. 사람은 잡던 존재에서 ‘잡히는’ 존재가 된다. 눈의 움직임을 몸의 움직임으로 전환시킬 만한 ‘강한 충동질’이 필요하다. AS 정신이 없기에 ‘그럼 말고’식이 많다. 많은 사람들이 걸려들었을 때 월척이라고 한다. (예) 무엇보다 네이버가 낚시터로 좋지.
③ 참고도서: “세계의 종말이 덮여오면 캐스팅을 몇 번 더 한다”는 ‘낚시 철학자’ 폴 퀸네트의 책 차례를 통해 “낚시의 이상 심리와 낚시꾼의 발달 과정 및 본성”을 추적해본다. “언어 이전에 낚시”가 있으며 “낚시꾼은 존경받아 마땅하다”. “물고기의 자유반사”가 잘 안 될 때는 “입질할지도 몰라” 하며 망설이는 대신 조금 더 적극적으로 “후추를 좀더 뿌려”줄 수도 있다. 사실 “밀고 당기는 맛”이 최고다. 하지만 결국 “많이 잡는다고 좋은 것은 아니다”. “윤리적으로 유능한 낚시꾼”이 되기 위해서는 “세심함, 지식, 기꺼이 행동에 나서는 과감성, 판단, 겸손함”이 필요하다.
④ 트렌드: 개개인의 취미활동을 넘어 현재 기업과 언론사 등의 조직적이고 대규모인 낚시질이 행해진다.
⑤ 트렌드 따라잡기: (초보 낚시) LG전자에서 ‘낸시 랭이 실종되었다’는 광고를 실었다. 네티즌들은 이 광고에 자극받아 ‘낸시 랭’과 ‘낸시 랭 실종사건’을 검색어로 입력했다. (고품격 낚시) 언론사는 이 떡밥을 물고 ‘검색어 낚시’에 돌입한다. ‘검색어 순위’ 기사들을 하루에도 여러 번 네이버에 제공한다. 이 기사는 모든 인기 검색어를 담은 ‘떡밥’이 푸지기에 검색어와 전혀 관련이 없음에도 기사 목록에 주르륵 뜨게 된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나경원의 ‘태세 전환’, 윤 파면되니 “이런 결과 예상”
헌재, 윤석열의 ‘적대 정치’ 질타…야당엔 관용과 자제 촉구
파면된 윤석열 사과도 승복도 없이…“국힘, 대선 꼭 승리하길”
“금리 내려라” “못 내린다”…파월, 트럼프와 정면충돌
시진핑, 트럼프를 때리다…미·유럽 증시 패닉
“아이유 ‘탄핵 집회 선결제’는 혜안” 여연갤 성명문…팬덤 사칭 논란도
김동연 경기지사 “대한민국 파괴하려던 권력 국민 심판에 무너져”
“윤석열이 파면되이 와 이래 좋노∼” 대구·경북 시민들 축제
검찰독재정권 2022.05.10~2025.04.04 [그림판]
‘가시방석’ 떨쳐낸 대구 시민들 “묵은 체증 내려가…힘든 지형 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