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국회의원 300명’의 벽을 넘지 못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의결한 ‘선거제 개편 결의안’ 얘기다.
정개특위는 앞서 2023년 3월17일 정치관계법개선소위원회를 열고 선거제 개편과 관련한 3개 안을 의결한 바 있다. 이 가운데 2개 안은 국회의원 수를 300석에서 350석으로 늘리고, 지역구 의원은 소선거구제를 유지하되 ‘권역별·병립형 비례대표제’와 ‘권역별·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각각 도입하는 방안이었다. 세 번째 안은 300석을 유지하되 지역구 의원을 뽑을 때 도시는 3~10명을 뽑는 중대선거구제, 농촌은 현행과 같은 소선거구제를 도입하는 방안이었다. 비례대표 의원은 권역별·병립형으로 선출하도록 했다.
난항에 부닥친 건 소위가 이 세 개 안을 내놓은 뒤다. 국민의힘은 의석수를 늘리는 두 개 안을 수용할 수 없다며 갑작스레 제동을 걸었다. 결국 국민의힘이 수정한 안(도농복합형 중대선거구제+권역별·병립형 비례제)과 더불어민주당이 제안한 2개 안(소선거구제+권역별·연동형 비례제, 개방명부식 대선거구제+전국·병립형 비례제)이 3월22일 정개특위에서 의결됐다. 모두 의원수를 늘리지 않은 ‘300석’을 기준으로 한다.
하지만 의원수를 그대로 둔 채 이뤄지는 개편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시민사회는 지적한다. 소수 의원이 독점하는 특권이 그대로 유지되는데다 과거와 견줘 늘어난 인구수, 법안, 예산, 방대해진 행정부 규모 등을 고려하면 현행 300석으로 의원이 제 역할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게다가 개편 취지를 살려 비례성을 높이려면 지역구 의원수를 줄여야 하는데, ‘밥그릇’ 싸움이 되는 만큼 순탄하게 진행될지도 미지수다.
국회가 사표를 줄이고 다양한 민의를 반영하려면 “500석 규모의 개방형 대선거구 비례제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녹색당은 3월23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현행 3개 안이 모두 “거대 양당의 집중을 강화하는 것”이라며 “민의를 있는 그대로 반영하고 위성정당을 방지할 수 있는 선거제도 개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여야는 같은 날 국회 본회의에 개편안을 상정하고 전원위원회를 구성한 뒤, 3월27일부터 2주 동안 하루 20~60명의 의원이 생중계 토론에 나선다.
박다해 기자 doall@hani.co.kr
*뉴스 큐레이터: <한겨레21> 기자들이 이주의 놓치지 않았으면 하는 뉴스를 추천합니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한동훈, 도로교통법 위반 신고돼…“불법정차 뒤 국힘 점퍼 입어”
[단독] 윤, 휴장한 군 골프장 열어 라운딩…‘안보휴가’ 해명 무색
유시민 “기본 안 된 한동훈, 팩트 무시”…‘8동훈 논란’ 직격
압수수색 국힘, 공천 개입 의혹 자료 상당수 폐기…강제수사 실효성 의문
‘출근길 조심하세요’…폭설 첫날, 53중 추돌·지붕 무너져 심정지
제주공항 도착 항공기에서 50대 승객 숨져
‘공천개입 의혹’ 수사 나선 검찰…윤 대통령 부부로 뻗어갈지는 미지수
‘출근길 비상’ 오늘 낮 12시까지 눈…서울·경기 40㎝ 폭설 쌓여
감사원, ‘형사책임 소명’ 경호처에 넘겨…‘유령관저’ 수사 불가피
도수치료 본인 부담금 3만→9만5천원…정부안 들여다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