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근의 원동력, 초코바. <한겨레21> 류우종 기자
식탐(食貪), 언제나 이게 문제다. 식당에서 음식이 나오면 늘 음식량이 적다고 생각한다. 먹기 전엔 “비싼데 음식량이 적다”며 투덜대고, 먹고 나선 “보는 것과 달리 많네” 하며 남은 음식을 아까워한다. 여러 사람과 식사할 땐 전략적으로 밥을 먹는다. 내 몫은 온전히 내 것이니까 놔두고, 함께 먹는 음식부터 공략한다. 배가 불러도 남이 먹는 음식을 탐한다. 의 황정음처럼 “한 입만”이라고 외치며 끼어든다.
식탐은 끊임없는 허기에 닿아 있다. 끼니를 굶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제대로 된 밥 한 그릇은 아니어도 뭔가를 먹어 늘 배를 채운다. 공복 상태가 되면 불안함이 엄습한다. 조용한 실내에서 주책없이 꼬르륵 소리가 날 것만 같다. 또 바빠서 끼니를 건너야 할 땐 ‘먹고살자고 하는 일인데 왜 밥도 못 먹고 이러고 있나’ 싶어 화도 난다. 일에 집중도 어렵다. 마감 시간에 쫓겨 밥 먹을 시간도 아까울 땐 미칠 지경이다. 매끄러운 기사 마감을 위해 식사하러 나가는 동료의 등 뒤로 “김밥 한 줄만”을 안타깝게 외칠 뿐이다.
저녁 7시에 먹은 김밥 한 줄은 밤 10시면 뱃속에서 흔적도 없다. 기사 마감에 다시 제동이 걸린다. 배를 채워줘야 움직이는 내 뇌는 건전지 빠진 시계처럼 멈춘다. 기사 한 줄 쓰기도 어려워진다. 비상식량이 필요할 때다. 책상 서랍에서 초콜릿바를 꺼낸다. 한 입 베어 무니 부드러운 누가와 고소한 땅콩이 입안에서 오도독 씹힌다. 달달한 초콜릿이 혀를 감싸며 먹을 것을 달라고 아우성치던 위로 흘러 들어간다.
광고
뱃속이 허전하면 얼마나 예민해지는지를 잘 아는 나는 초코파이, 초콜릿바, 치즈가 들어간 소시지, 양갱 따위를 서랍이나 가방 속에 간식거리로 챙겨두는 편이다. 초콜릿바 하나는 늦은 밤까지 기사를 쓸 수 있는 힘이 돼준다. 옆자리에 앉은 임지선 기자, 최성진 기자에게도 초콜릿을 나눠준다. 스트레스 해소에 단것이 좋다는데 기사 쓰느라 눈이 빨개진 이들에게도 나의 초콜릿은 쓸모가 있겠지.
생각해보니 초콜릿이 내 주된 야식이 된 건 에 입사한 2003년부터다. 회사 근처에 24시간 편의점이 없다 보니 밤에 일하다가 먹을 야식이 마땅치 않았다. 기껏해야 프라이드치킨과 맥주가 전부다. 기름진 포만감이 기사 쓰는 데 도움이 될 리 만무하다. 그때부터 늘 배고픈 나를 위해 초콜릿을 비상식량으로 챙기기 시작했던 것 같다. 초콜릿은 먹기 편하고 포만감도 적당하니 사랑하지 않을 수가 없다. 잠을 못 자 피곤할 때, 입맛이 없을 때도 좋다. 초콜릿바 하나와 따뜻한 녹차 한 잔이면 늦은 밤까지 기사를 쓸 때도 든든하다.
하지만 내 야근 파트너인 초콜릿이 야식으로는 좋지 않은 모양이다. 각종 건강 기사를 보면 칼로리 높은 초콜릿 대신 요구르트 같은 저칼로리 간식을 먹는 게 좋다고 나온다. 그러고 보니 초콜릿이 내 뱃속만 든든하게 해준 건 아닌 것 같다. 벨트 위로 올라온 뱃살도 두둑하다. 초콜릿 대신 허기를 달래줄 다른 야식을 찾아봐야 할지 모르겠다.
김미영 기자 instyle@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탄핵심판 안 나온다는 윤석열…파면돼도 관저서 며칠 더 버티기?
한국에 상호관세 26%…트럼프, 무역질서를 파괴하다
‘원피스’ 감독 “지브리를 더럽히다니, 챗GPT 용서하지 않겠다”
“나경원·전한길 유세 마이너스”…‘재보선 참패’ 국힘 내부서 쓴소리
4월 4일 한겨레 그림판
대법, ‘도이치 주가조작’ 유죄 확정…김건희 재수사로 이어질까
펭귄도 ‘깜짝’ 놀란 트럼프 관세…사람 없는 남극 섬에도 부과
“불체자 추방” 전광훈당, 구로서 32% 득표…극우 급부상 경고
상호관세로 한·미FTA 무력화…쌀·소고기 줄줄이 공격 예고
윤석열 선고 전야, 마지막 광장의 염원…“전원일치 파면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