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맡았던 책 가운데 가장 많이 팔린 책은 2010년 4월에 출간된 (한겨레출판 펴냄)이다. 지금까지 3만5천 부 가까이 찍었다. 기획연재 ‘노동 OTL’을 바탕으로 만든 책이다. 안수찬 기자가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전종휘 기자가 경기도 마석의 가구공장에, 임인택 기자가 안산의 난로공장에, 임지선 기자가 서울 갈빗집과 인천 감자탕집에 한 달간 ‘위장 취업’해 경험한 생생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청년노동·이주노동·파견노동·여성노동의 현장을 당사자 처지에서 가감 없이 보여준 이 책은, 우리 시대 노동의 현실을 다룬 대표작으로 자리잡았고 학교에서도 노동 분야 추천 도서로 널리 읽혔다.
책 제목을 으로 지은 것은 취재가 이루어진 2009년 당시의 최저임금이 시급 4천원이었기 때문이다. 단행본으로 출간된 2010년의 최저시급 역시 4110원이었고, 그해 여름 결정된 2011년의 최저시급은 4320원이었다. 몇 년이 지나도 ‘4천원 인생’은 계속 쌓여만 갔다. ‘4천원 인생’이 어서 빨리 과거의 말이 되길 바랐지만, 최저시급이 5천원대가 된 것은 2014년(5210원)의 일이다. 그렇게 형식적으로는 ‘4천원 인생’이 과거의 말이 되었으나, 독자는 여전히 지금도 이 책을 찾아 읽고 공감하며 아파한다.
그렇게 몇 해를 지내다 (청년유니온·한국비정규직노동센터·김연희·이상원 지음, 북콤마 펴냄)을 만났다. 6030원은 2016년 최저임금이다. 아, 이제 겨우 4천원에서 6천원에 이르렀구나. 에서 만난 한 마트 노동자는 이런 이야기를 한다. “월급이 200만원만 됐으면 좋겠어요.” 시급을 1만원으로 상정하고 월급을 계산하면 209만원이 된다. 어쩌면 ‘최저임금 1만원’은 2009년부터(혹은 그 이전부터) 노동자가 체감한 현실적 기준이었는지도 모르겠다. 드디어 지난 대선에서 ‘최저임금 1만원’이 중요한 이슈가 되었고, 이번 정부에서 처음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에선 최저임금 1만원으로 향하는 첫걸음으로 2018년 최저임금을 시급 7530원(월 환산액은 157만3770원)으로 정했다.
광고
의 부제는 ‘2016년 최저임금은 어떻게 결정되었는가’이다. 2015년 여름에 열린 2016년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에는 처음으로 최저임금 당사자 단체가 참여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노동자위원·사용자위원·공익위원 각 9명씩 모두 27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는데, 양대 노총이 노동자위원 아홉 자리 중 두 자리에 비정규직과 청년을 대표하는 한국비정규직센터 소장과 청년유니온 위원장을 추천한 것이다. 이 책의 전반부는 두 위원의 최저임금위원회 참가기다. 조직노동자·최저임금대상자·재벌·중소기업주·영세자영업자 등 다양한 위치에 놓인 당사자가 입체적으로 충돌하고 그 안에서 답을 찾아가는 모습을 확인하는 것이 반가웠다. 갈 길은 아직 멀지만 그래도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다는 작은 희망을 발견한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속보] 권성동 “이재명·김어준·민주당 초선 72명 내란 음모죄 고발”
산 정상에 기름을 통째로…경찰, 화성 태행산 용의자 추적
[영상] ‘도대체 언제까지’…광장 시민, 탄핵 지연 헌재 향한 ‘불안한 분노’
프로야구 NC-LG 창원 경기 중 구조물 추락…관중 3명 부상
냉장고-벽 사이에 82세 어르신 주검…“얼마나 뜨거우셨으면”
[단독] ‘내란’ 김용현, 군인연금 월 540만원 받고 있다
최상목, 2억 상당 ‘미 국채’ 매수…야당 “환율방어 사령관이 제정신이냐”
민주, 윤석열 탄핵 선고 촉구…“지연된 정의는 정의 아냐”
4월 탄핵 선고 3가지 시나리오…윤석열 파면·복귀, 아니면 헌재 불능
한국도 못 만든 첫 조기경보기 공개한 북한…제 구실은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