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을 때 죽 해오던 일을 접고, 40~50대에 새 일을 시작하는 것. 내가 40대 후반이다 보니 이제껏 해온 일을 그만두는 이들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주변에서 나온다. ‘인생 이모작’이란 말도 이와 비슷한 것일 텐데, 사는 게 말과 달라서 막상 ‘이모작’을 보란 듯 성공적으로 해나가는 이가 많지 않다. 나 역시 오래 다닌 신문사를 그만두고 영화 일 한다고 해놓고 별 성과가 없다. 아직 과정이라고 생각하지만, ‘과정’이라는 말이 위로가 되는 듯하면서 끔찍하기도 하다. 이렇게 계속, 평생이 과정이라면…, 으.
그러는 동안 어딘가 아픈 것 같은데 병원 가면 ‘별 탈 없다’는 말을 듣고 나오는 일이 잦았다. (누군가 갱년기 증상이라고 했다.) 나와는 전혀 무관할 것으로 여기던 우울증 비슷한 증상도 겪었다. (지난해 시나리오 초고를 하나 쓴 직후 정서적으로 좋지 않아 정신과를 갔더니 의사는 ‘크리에이션 피버’라고 했다. ‘크리에이터’가 되기도 전에 ‘크리에이션 피버’부터 앓다니….) 이런저런 증상이 나만의 것이 아님을, 얼마 전 나보다 한참 일찍 ‘인생 이모작’을 시작한 한 여자 선배를 만나고 새삼 알았다.
조선희(50)는 나보다 두 살 많지만, 언론사 입사는 7년이나 빠르다. 에 다니다 창간 때 옮겨와 문학담당 기자로 이름을 날렸고, 을 만들어 편집장을 했고, 2002년 언론사 생활 20년을 접고 소설가로 나섰다. (소설책도 두 권 냈다.) 최근 3년 동안은 한국영상자료원장을 맡았다가 임기가 끝난 뒤 다시 집에 들어가 소설을 쓰고 있다. ‘이모작’ 잘하고 있다고 보이지 않는가.
한국영상자료원장 임기 말에 조선희는 책을 냈다. 이라고 한국 원로 영화감독들에 관해 쓴 책인데, 그를 만나 책을 받고 3일 지나 전화가 왔다. “그 책에 아무개 감독에 대해 쓴 부분 봤어?” “아직 안 봤는데….” “이거 영 관심이 없구만!” 전화가 뚝 끊겼다. 큰일 났다 싶어 얼른 아무개 감독 부분만 읽고서 전화를 했다. “어때? 재밌어?” “재밌어, 재밌어!” “그렇지? 그게….” 글 잘 쓴다는 말을 오래전부터 들어온 사람인데, 칭찬에 굶주려 하다니. 그리고 얼마 지나 전화가 왔다. 술 마시자고 했다.
품행 단정하고 정숙한 조선희를 ‘술꾼’이라고 하기는 뭣하지만, 그도 분위기가 맞으면 술을 제법 마신다. 둘이서 폭탄주를 돌려 마시며 그가 한 말인즉, 책이 초판도 다 안 팔렸다는 거였다. 그나마 팔린 게 대부분 자신이 사서 지인들에게 돌린 것이라고 했다. 이러니, 지금 준비하는 소설도 기껏 썼는데 몇 사람만 보고 마는 게 아닌지 우울해지더라는 거였다. (그가 전에 낸 소설책들은 반응이 좋았지만 열광적이진 않았다.) 그날도 기분이 자꾸 가라앉는 것 같아 술 마시고 풀어야겠다고 했다.
흔히 사람을 ‘갯과’와 ‘고양잇과’로 나눌 때, 내 생각에 조선희는 ‘갯과’였다. 공동체를 걱정하고, 공동체에 책임지며 헌신하는…. (그의 장편 에도 ‘갯과’의 품성이 보인다.) 1995년 을 창간할 때 조선희는 회사 경영진과 잡지의 방향을 놓고 마찰을 빚기도 했다. 그게 정점에 이르던 어느 아침에 일어나니, 아파트 창밖으로 뛰어내리고 싶어지더라고 했다. 또 언젠가는 꿈에 사람 몇이 안 좋은 모습으로 나타나, 잠에서 깬 뒤 신문사 걱정에 밤새 뒤척였다고 한다. 그 책임감! 그 애사심! 그가 언론사를 떠날 때 내가 그랬다. “조 선배는 집단 안에 있어야 하는 사람”이라고.
조선희가 회사를 떠난 지 몇 년 뒤, 그가 한국영상자료원장 후보에 올랐다는 말을 듣고 난 당혹스러웠다. 창작하겠다고 나선 사람에게 옆길 같았다. 그에게 전화를 했더니, 비로소 근황을 털어놓는데 그 상태가 좋지 않았다. 무기력감, 우울증 같은 것에 시달렸다고 한다. 사람들과 함께하는 일이 필요해 보였다. ‘역시 갯과인데….’ 소설가의 꿈이 컸겠지만, 그가 성취를 이룬 자리에서 오래 죽치며 누리지 않고 새로운 길로 간 데는, 후배들에게 일을 물려줘야 한다는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도 적잖이 작용했겠구나 싶었다. ‘진짜 갯과는 그 갯과스러움 때문에 집단을 떠나, 고양이처럼 홀로 세상과 대면하는 길로 가는 거구나!’
한국영상자료원장으로 있으면서 조선희는 활기차 보였다. 임기 끝날 때 그랬다. 이제 가뿐하게 창작에 전념할 수 있을 것 같다고. 그래도 ‘갯과’가 다시 홀로 새 일을 시작하려니 초조함이 생기는 모양이지만, 아무리 봐도 ‘크리에이션 피버’부터 앓는 나 같은 이가 걱정해줄 정도는 아닌 것 같다. 얼마 전에 봤더니 그랬다. 지금 준비 중인 소설을 다 마치기 전에 죽거나 크게 다치면 어쩌나 싶어 걱정이라고. 그 막강한 책임감이라면 잘하지 않겠나.
임범 애주가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푸틴, 아제르에 ‘여객기 추락 사고’ 사과…우크라 드론 오인 격추 인정
[영상] ‘총·방망이 난무’ 내란의 공포 이기려…50만 시민 “힘내” 함께 불렀다
“최상목, 윤 탄핵은 기정사실 발언”…기재부 “그런 적 없어”
경찰, 추경호 ‘계엄해제 방해로 내란 가담’ 피의자 조사
[영상] 부산 시민들 “내란 공범 나와라”…박수영 의원 사무실 항의 농성
베트남, 마약 밀수 조직원 27명에 무더기 사형 선고
영원한 ‘줄리엣’ 올리비아 핫세 가족 품에서 잠들다…향년 73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민주, 헌법재판관 임명·쌍특검법 공포가 탄핵 잣대
물에 빠진 늙은 개를 건져주자 벌어진 일 [아침햇발]
아침에 침대 정리하면 건강을 해칩니다 [건강한겨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