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꼬리치는 통계] 32.0%

등록 2007-03-08 00:00 수정 2020-05-03 04:24

▣ 김영배 기자 kimyb@hani.co.kr

‘각종 세금을 납부할 때 어떤 생각이 드십니까?’ ① “기꺼이 낸다” ② “어쩔 수 없이 낸다” ③ “빼앗기는 기분이다”
조세연구원이 지난 2월 전국의 30대 이상 납세자 1083명에게 전화를 걸어 이런 질문을 던졌다. 3월2일 ‘납세자의 날’ 기념 심포지엄에서 발표된 이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기꺼이 낸다”는 응답은 32.0%였다. 53.6%는 “어쩔 수 없이 낸다”고 답했고, “빼앗기는 기분이다”는 대답은 14.4%였다.
세금 내기 좋아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테니(아니, 약간은 있을지도 모르겠다) 당연한 결과로 봐야 할까? 조세연구원은 지난 2001년에도 같은 조사를 한 적이 있다. 당시 조사에서 기꺼이 내는 납세자의 비율은 34.9%, 어쩔 수 없이 내는 납세자는 44.8%, 빼앗기는 기분으로 내는 납세자 비율은 20.3%였다. 빼앗기는 기분으로 낸다는 납세자가 올 들어 2001년에 견줘 5.9%포인트 줄었다는 점에선 긍정적이지만, 기꺼이 낸다는 납세자 또한 2.9%포인트 감소했다. 더욱이 어쩔 수 없이 낸다는 납세자가 8.8%포인트 늘었다. 흔쾌히 세금을 내려는 ‘납세 순응도’가 6년 전보다 더 떨어진 것이다.
조세연구원은 세금 납부를 꺼리는 납세자 계층에게 그 이유를 따로 물어보았다. 결과는? “세금이 제대로 쓰이지 않고 낭비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주장에 10명 중 8명꼴로 절대 동의 또는 동의했다. “불성실 납세자 탓에 성실 납세자가 과도한 세 부담을 지기 때문”이란 주장에 대해서도 7.2명이 동의했다. “고액 납부자가 제대로 된 대접을 받지 못하는 사회 분위기 때문”이란 주장에는 10명 중 4.9명만이 동의했다. 설문조사 결과는 무엇보다 정부가 세금을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성과로 보여줄 것을 촉구하고 있는 듯하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광고

4월3일부터 한겨레 로그인만 지원됩니다 기존에 작성하신 소셜 댓글 삭제 및 계정 관련 궁금한 점이 있다면, 라이브리로 연락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