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배 기자 kimyb@hani.co.kr
전셋값이 1년 동안 1.7% 오른 걸 놓고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한다면, 얼마나 동감할 수 있을까?
통계청이 12월29일 내놓은 ‘12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전세는 지난해 같은 달에 견줘 1.7% 오른 것으로 집계됐고, 이는 2004년 8월(1.7%) 이후 2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꺼번에 수천만원씩 보증금을 올려줬다는 얘기를 주위에서 자주 듣는 터에 한 해 동안 1.7%만 올랐다는 것도 쉽게 납득하기 어렵지만, 2년여 만의 최고라니 어리둥절하다.
흐지부지되고는 있지만, 열린우리당이 전·월세 연간 상승률을 5%로 제한하는 쪽으로 주택임대차보호법을 바꾸겠다는 방침을 내놓은 바 있다는 점에서도 ‘전셋값 상승률 1.7%’와 ‘최고’라는 조합은 도무지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통계청에 물어봤더니 대답은 이랬다. “조사 대상 중에는 보증금이 내린 데도 있을 것이기 때문에 평균값은 낮게 나타날 수 있다.” 여기에 한 가지 설명이 덧붙었다. “전세 계약이 2년 주기로 이뤄지는 데 따른 영향도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올해 계약을 갱신한 가구들의 체감도와는 크게 다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전셋값 상승률은 2006년 한 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2.2%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전셋값이 늘 이런 정도로 낮게 형성됐던 건 아니다. 2002년 2월과 3월에는 전년 같은 달보다 무려 7.7%나 치솟은 바 있고, 2004년 3월에는 1년 전보다 3.0% 오른 적이 있다. 그러니까, 지금의 전세 통계에는 평균값과 계약 주기에서 비롯된 왜곡도 포함돼 있겠지만, 집값에 견줘선 그래도 전세가 상대적으로 안정돼 있었다는 얘기다. 국민은행 집값 통계를 보면, 2006년 들어 11월까지 전국 아파트값 상승폭은 평균 11.4%였다. 집값 불안 뒤끝엔 전세 대란 얘기가 나오기 마련이다. ‘1.7%’ 속에 들어 있는 불안의 싹을 잠재울 수 있을까?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나경원의 ‘태세 전환’, 윤 파면되니 “이런 결과 예상”
헌재, 윤석열의 ‘적대 정치’ 질타…야당엔 관용과 자제 촉구
파면된 윤석열 사과도 승복도 없이…“국힘, 대선 꼭 승리하길”
세계가 놀란 ‘민주주의 열정’, 새로운 도약의 불꽃으로
“금리 내려라” “못 내린다”…파월, 트럼프와 정면충돌
‘증거 능력’ 엄밀히 따진 헌재…윤석열 쪽 ‘불복 논리’ 차단했다
김동연 경기지사 “대한민국 파괴하려던 권력 국민 심판에 무너져”
시진핑, 트럼프를 때리다…미·유럽 증시 패닉
검찰독재정권 2022.05.10~2025.04.04 [그림판]
“윤석열이 파면되이 와 이래 좋노∼” 대구·경북 시민들 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