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배 기자 kimyb@hani.co.kr
고용 통계에서 ‘저임금 노동자’는 임금이 전체 평균의 3분의 2 아래쪽인 노동자를 일컫는다. 정부의 공식 통계는 아니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저임금 노동자를 이렇게 정의하고 있으며, 각국 연구자들도 이 기준에 따라 저임금 실태를 따진다.
우리나라에서 저임금 노동자 실태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전병유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전 위원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추출해 9월21일 발표한 지난해 국내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25.9%였다. 이는 2001년의 22.9%보다 크게 높아진 것으로, 정규직과 비정규직, 대기업과 중소기업 노동자 사이의 임금 격차가 확대되는 양극화의 심화를 잘 보여준다. 선진국 가운데 저임금 근로자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인 미국의 수준(2001년 18.1%)을 크게 웃돈다.
이번 전 위원의 분석 자료에서 전체 평균 임금은 시간당 6200원. 이를 월급으로 환산하면 대략 120만원이다. 이 평균치의 3분의 2인 80만원을 채 못 받는 이들이 전체 임금 근로자의 4분의 1을 웃도는 셈이다. 저임금 근로자 비중 25.9%라는 건조한 통계치를 머릿수로 환산하면 350만~375만명(전체 임금 근로자 1400만~1500만명)에 이르는 막대한 규모다.
전 위원은 “2000년 이후 해마다 일자리는 30만∼40만개씩 늘고 있는데도 노동시장 양극화로 고용의 질이 향상되지 않고 있다”며 “더 많은 일자리 창출이 저임금 일자리와 근로 빈곤층만 만든다면 효율적인 노동시장으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전 위원은 저임금·저생산성 부문의 고용 개선을 위한 대안으로 공공행정, 교육, 보건의료, 복지 서비스 등 공공사회 서비스의 고용 창출을 제안했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증거 능력’ 엄밀히 따진 헌재…윤석열 쪽 ‘불복 논리’ 차단했다
[단독] 나경원의 ‘태세 전환’, 윤 파면되니 “이런 결과 예상”
‘탄핵 불복’ 이장우 대전시장, 윤석열 파면 뒤 “시민 보호 최선” 돌변
‘윤석열 파면’에 길에서 오열한 김상욱 “4월4일을 국경일로”
“금리 내려라” “못 내린다”…파월, 트럼프와 정면충돌
윤석열 파면 뒤 김건희 검색했더니…달라진 인물 정보
“탄핵 자축” “불복종 투쟁”…‘파면’ 다음날 서울 도심 대규모 집회
김동연 경기지사 “대한민국 파괴하려던 권력 국민 심판에 무너져”
홍준표 “윤석열 탄핵은 이제 과거”…대선출마 선언 예고
파면된 윤석열 사과도 승복도 없이…“국힘, 대선 꼭 승리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