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친절하지 않은 식당

등록 2020-10-30 05:55 수정 2020-10-30 05:55
이미녀 제공

이미녀 제공


<출제하시느라 고민하신 기자님께 드리는 웃자고 죽이는 말 -상황극->

닫힌 문을 들고(열고) 들어온 손님 왈

손님: 아니 왜 손님에게 인사도 없어!

주인: 남의 집 들어오는 사람이 먼저 인사하면 되지. 노크하고 인사하고 들어와야지

손님: 아니 뭐 이런 식당이 다 있어?!

주인: 살다보면 있지 뭐 그려! 인사 잘하면 공짜도 있어. 담엔 인사하고 들어와요.

<한겨레21> 한가위 퀴즈큰잔치 응모엽서 뒷면에 웬 상황극 대본이 가득 채워져 있다. 퀴즈 응모 독자는 세 그룹 정도로 분류할 수 있다. 참가에 의의를 두는 ‘올림픽형’, 상품 취득이 목표인 ‘목적지향형’, 기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쓰는 ‘쓴소리형’. 그런데 이분은 어떤 그룹에도 속하지 않는 분 같다. 뭐랄까, 쓰고 싶은 대로 쓰는 ‘자기만족형’ 같은.

‘음식값’엔 친절과 ‘써비스’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이미녀(55)씨다. 이미녀 독자는 경기도 동두천에서 시래기국밥집을 운영하고 있다.

상황극이 너무 재미있어서 꼭 통화하고 싶었다. 특히 메뉴에 친절은 없다는 부분이. 응모엽서 분류할 때 읽고서 웃었으면 좋겠어서 썼다. 예전부터 여성에게 웃음을 강요한다고 느꼈다. 식당 손님은 70~80대 어르신이 많다. 내가 웃고 있지 않으면 “화났냐”거나 “남편이랑 밤에 안 좋았냐”는 성희롱을 한다. 그럼 “3천만원 있냐? 성희롱하면 3천만원”이라고 되받아친다. (1993년 서울대 신아무개 교수가 조교를 성희롱했는데 그 조교가 문제제기를 하자 임용에서 탈락시킨 사건에서, 1심 재판부는 신 교수에게 3천만원을 조교에게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페미니즘 이슈에 관심이 많나. 우선 내가 여성이기도 하고 호주제 폐지라든지, 가정폭력·성폭력 법을 제정하는 이슈가 있을 때마다 무임승차는 하지 말자고 생각한다. 나의 현재이기도 내 딸의 미래이기도 하니까 목소리를 내는 건 당연하다. 일상에서 (여성이기 때문에 받는 차별에 맞서는) 실천을 하려고 한다. 얼마 전 마스크가 코 아래로 내려온 여성이 짐을 들고 버스에 타자, 기사가 “에이, 씨× 아줌마 코 뚫렸어?”라고 했다. 근데 바로 뒤 마스크를 턱에 걸친 채 버스에 오르는 남성에겐 “사장님 마스크 쓰세요”라고 하는 거다. 성질나잖아. 그럼 “기사님, 표현 그렇게 하지 말라”고 말한다. 물론 그 말 하고 바로 다음 정거장에서 내린다. (웃음)

식당은 얼마나 운영했나. 약 20년 됐다. 서울에서 식당을 하다가 동두천에 온 지는 6년 정도 됐다. 청국장, 시래기국밥, 도토리묵무침을 판다. 고깃집보다는 환경오염이 덜 되는 것 같다고 의미 부여를 한다. 나만의 자존감 같은 거다.

너무 말씀을 재미있게 하셔서 해야 하는 질문도 못했다. 언제부터 <한겨레21>을 구독했나 같은 질문은 하지 마라. 질문을 바꿔서 언제까지 구독할 거냐고 물어라. 그럼 녹내장이 올 때까지, 눈이 침침할 때까지, 이런 말을 하지 않겠나.

그럼 언제까지 구독할 건가. 눈이 침침해져서 못 볼 때까지. 그리고 1년 구독료가 30만원까지 올라도 볼 것 같다.

장수경 기자 flying710@hani.co.kr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