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월 윤용복 북한 체육성 부국장(가운데)과 정 기자(왼쪽). 사진공동취재단
정인환 기자가 설이 지나면 뉴스룸을 떠납니다. 중국 특파원으로 떠나는 그와의 굿바이 인터뷰.
바로 지금, ()을 떠나는 것의 의미는.
통일외교팀에서 일하다, 지난해 4월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발령을 받아 기뻤다. 입사 뒤 네 번째, 4년 반 만에 돌아온 생활이 10개월 만에 끝나 아쉽다. 앞서 가장 길게 일한 기간이 50개월이었는데…. 외교안보와 국제뉴스를 맡을 후임자 없이 떠나게 돼 송구할 뿐이다. 굵직굵직한 뉴스가 줄줄이 예고돼 있어 더욱 그렇다.
광고
새삼 두렵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전격적인 중국 방문으로 문을 연 올해는 지난해만큼 분주할 게다. 2월 말로 예정된 2차 북–미 정상회담, 이어질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 등으로 상반기 내내 정세가 요동칠 게다. 되도록 현지에 어서 적응해, 어떻게든 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중국에서 하고 싶은 보도는.
하고 싶은 일과 해야 할 일이 항상 겹치는 건 아니다. 북-미 협상 진척에 따라 한반도 문제에 대한 중국의 역할도 커질 수밖에 없다. 중국의 개혁·개방 경험은 북한이 전례로 삼을 만하다. 대외적으론 미국과 갈등이, 내부적으론 급격한 경제성장에 따른 극심한 불평등 구조가 중국이 풀어야 할 숙제다. 같은 숙제를 받아든 기분이다.
독자 퍼스트 언론,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나무 꺾다 라이터로 태우려…” 의성 산불 최초 발화 의심 50대 입건
산청 산불 213시간 34분 만에 주불 잡혀…역대 두번째 ‘긴 산불’
산 정상에 기름을 통째로…경찰, 화성 태행산 용의자 추적
최상목, 국회서는 “외환 안정 문제 없어”…뒤로는 ‘강달러’ 투자
박찬대 “한덕수,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중대결심”
“정권찬탈용 악성코드” “IS식 협박”…한덕수 재탄핵 언급에 나경원·윤상현 발끈
윤석열 탄핵심판 4월18일 넘기는 ‘최악 경우의수’ 우려까지
‘윤 탄핵’ 촉구 성명 추동한 세 시인…“작가 대신 문장의 힘 봐달라”
이재명, 풍자 그림 올리며 “조작인가, 아닌가”…국힘 비판 반박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