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단독과 감동이라니… 반칙

등록 2018-01-27 14:56 수정 2020-05-03 04:28
조연미 제공

조연미 제공

수입이 일정치 않은 프리랜서에게 ‘정기구독’은 늘 고민스럽다. 대전에서 시사교양 방송작가를 하는 조연미씨는 “흔쾌히 구독에 오케이했다가도, 곳간이 비면 제일 먼저 보험과 정기후원, 구독부터 손을 본다”며 “내게는 늘 미안한 ”이라고 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다시 정기구독을 결심하고 ‘중고 신인 독자’로 돌아왔다.

을 다시 본 계기는?

방송작가들의 노동 현실을 취재하다 우연히 봤는데, 세심하게 취재하는 과 기자들의 태도에 놀랐다. 이런 노력과 취재원에 대한 관심이 있었기에 한겨레가 그간 사회를 진보시키는 단독과 특종을 냈던 게 아닐까 하며 단박에 구독 신청을 했다.

장시간 일할 텐데 언제 보시나.

은 나 같은 시사교양 작가에게 표준전과(?) 같은 존재다. 주초에 출근해 사무실에서 처음 하는 일이 따끈따끈한 펼쳐보기다. 맥락을 먼저 보고 관심 있는 기사에 집중하는 편인데, 잘못 걸리면 점심때까지 보게 된다. 시간 도둑이다.

기억에 남는 기사는?

당연히 ‘방송계 스태프 상품권 페이’ 기사다. 2000년대 초 원고료 대신 ‘쌀’을 받았다는 말을 선배에게 들은 적이 있었다. 2018년에는 무려 상품권이라니! 또 지난해 손바닥문학상 대상 작품인 정재희 작가님의 ‘경주에서 1년’을 읽고 부들부들한 한겨레 종이에 눈물을 떨어뜨렸다. 사회·경제 기사를 보고 무심코 넘긴 페이지에서 인생 전반을 돌아보게 하는 글이라니. 이거 반칙 아닌가. ㅠㅠ

시사교양 작가로서 어떤 주제를 다루는지.

부당하게 계약 해지당한 지역 사립대학교 시설용역노동자, 국적이 취소돼 유령처럼 사는 이주민 등을 다뤘다. 굵직한 사회 이슈가 중앙의 몫이라면, 우리는 사회적 약자, 이른바 ‘스피커’가 필요한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에 더 귀 기울이려 한다. 사실과 사건에서 휴머니즘을 찾으려는 제작진에게 여전히 배우는 중이다.

에 바라는 점이 있나.

서점이나 지하철 가판대에서, 우연히 처음 봐도 잠시 손을 놓고 읽을 수 있는 기사가 더 많아졌으면 한다. 지역사회에서 오랫동안 풀지 못한 사안들도 조금 더 밀착해주시면 고맙겠다.

아이템을 추천한다면.

충남 청양 강정리 석면 폐광산 문제, 민간공원 특례사업으로 없어지는 도시공원, 한국타이어 노동자 문제 등.

변지민 기자 dr@hani.co.kr



독자  퍼스트  언론,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전화신청▶ 02-2013-1300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