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얼음이랑 석유랑 같이 팔죠? 사진 <한겨레21> 김정효 기자
→ 문득 이런 이야기가 떠오릅니다. 우산을 파는 아들과 짚신을 파는 아들을 둔 한 할머니는 하루도 마음이 편안하지 않습니다. 날씨가 좋으면 우산을 파는 아들이 걱정되고, 비가 오면 짚신을 파는 아들 때문에 마음이 불편했으니까요. 그런데 어느 날 지나가던 나그네가 할머니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할머니, 날씨가 좋으면 짚신 팔려서 좋고, 비가 오면 우산이 많이 팔려서 좋다고 생각해보세요.”
이 이야기 속에 yamoo님의 고민에 대한 해답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일종의 포트폴리오 분산 전략입니다. 서울 반포동 조양얼음에서 일하는 전문숙씨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겨울에 얼음이 안 팔리니 석유를 파는 것이고, 여름에 석유가 안 팔리니 얼음을 파는 것이다.” 명쾌합니다. 석유나 얼음 모두 사계절 영업할 수 있는 상품이 아닙니다. 그래서 겨울에는 석유를 팔고 석유가 팔리지 않는 여름에는 얼음을 판매하는 것입니다.
가게를 내면 1년 내내 임대료를 내야 하고 직원들 역시 철마다 매번 바꿀 수 없는 게 현실입니다. 영업을 계속하려면 당연히 품목이 전혀 다르더라도 한 가지 품목의 영업이 뜸할 때 다른 품목을 취급해 간극을 메워야 합니다. 조양얼음의 매출을 놓고 보면 더욱 와닿습니다. 이 가게에서도 여름엔 주로 얼음이 팔리는데, 여름철 매출은 월 1천만원가량 된다고 합니다. 겨울에는 석유를 팔아 월매출 7천만~8천만원쯤 번다고 합니다. 하지만 봄·가을엔 월 매출이 100만~200만원에 그친다고 합니다.
광고
여기에 석유와 얼음은 둘 다 생활필수품이면서 무겁다는 공통점도 있습니다. 무거운 석유를 배달하는 사람이 무거운 얼음도 잘 배달할 수 있기 때문이죠.
옛날엔 재래시장에선 양철 셔터에 붉은 글씨로 ‘어름’(얼음의 오자입니다)이라고 쓰인 가게들을 자주 볼 수 있었습니다. 요즘엔 많이 줄어든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얼음가게에서 주로 연탄을 팔았는데, 요즘엔 연탄을 파는 곳은 거의 없어졌습니다.
결국 얼음과 석유를 함께 파는 집에서 우리는 하나의 교훈을 얻게 됩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않는다.’ 주식이든 펀드든 하나에 몰빵하지 않는다는 포트폴리오 전략입니다. 자산투자를 한곳에 하기보다 분산투자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위험을 줄이고 수익을 확보하는 수단인 셈입니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광고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나경원의 ‘태세 전환’, 윤 파면되니 “이런 결과 예상”
파면된 윤석열 사과도 승복도 없이…“국힘, 대선 꼭 승리하길”
헌재, 윤석열의 ‘적대 정치’ 질타…야당엔 관용과 자제 촉구
시진핑, 트럼프를 때리다…미·유럽 증시 패닉
“금리 내려라” “못 내린다”…파월, 트럼프와 정면충돌
시장도 환호했다…헌재 결정 20분간 원화가치 급등
“아이유 ‘탄핵 집회 선결제’는 혜안” 여연갤 성명문…팬덤 사칭 논란도
김동연 경기지사 “대한민국 파괴하려던 권력 국민 심판에 무너져”
“윤석열이 파면되이 와 이래 좋노∼” 대구·경북 시민들 축제
검찰독재정권 2022.05.10~2025.04.04 [그림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