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별금지법 연내 제정을 촉구하며 500㎞ 도보행진을 나선 인권운동사랑방 소속 활동가 미류(활동이름·오른쪽)가 부산을 출발한 지 21일째인 11월1일 충북 청주 시내를 걷고 있다. 그의 양쪽 다리엔 ‘차별금지법 제정하자’는 글귀가 둘러져 있다. ‘성적 다양성과 포용력’을 상징하는 6가지 색 무지개 깃발을 든 참가자가 함께 걷고 있다.
2007년 국회에 법안이 제출된 뒤 일곱 차례나 처리가 무산된 차별금지법이 2021년엔 제정될 수 있을까.
기다림에 지친 인권운동 활동가들이 간절한 염원을 다리에 실어 도보행진에 나섰다. 2021년 10월12일 부산 연제구 부산시청을 출발한 이종걸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활동가와 미류 인권운동사랑방 활동가가 11월10일 서울 여의도동 국회 도착을 목표로 걷고 있다. 때로는 이들이 지나는 지역의 인권단체와 노동단체 활동가, 시민들이 함께 걷는다.
충북 옥천에서 대전을 향해 걷던 미류 활동가가 30일 동안 100만여 보라는 힘든 걸음을 걷게 된 배경을 설명한다. “지난 6월 국회의 국민동의청원에 10만 명 이상이 서명해 차별금지법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상정됐다. 한데 90일의 심사 기한 동안 제대로 논의조차 않고 11월10일로 기한을 미뤘다. 시민들의 요구를 땀이 밴 발걸음에 담아 국회를 압박하고자 ‘평등길’ 걷기에 나섰다.”
이들이 걸음을 옮기는 동안, 21대 국회에서 차별금지법·평등법을 발의한 여야 국회의원들이 차별금지법 제정에 대한 심사 개시를 촉구했다. 장혜영(정의당), 이상민·박주민·권인숙(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1월3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일각에서 문제를 제기하는 사회적 합의는 진작 이뤄졌다. 지난해 국가인권위 조사에서 국민 10명 중 9명이 평등법 제정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사회적 합의를 이유로 법사위가 논의를 못하면, 전체 의원이 참여하는 국회 전원위원회에라도 이 법안을 올릴 것을 요구했다. 차별금지법 연내 제정 촉구 행진은 유튜브로 생중계된다. 소셜네트워크에 ‘#평등길1110’이란 해시태그 달기 캠페인도 진행 중이다.

차별금지법 제정에 뜻을 함께한 민주노총 노동자들이 출발에 앞서 서로 펼침막을 달아주고 있다.

이종걸 활동가(오른쪽)와 미류 활동가가 10월28일 대전을 향해 걷고 있다. 가운데는 대전 인권단체 ‘나무’ 소속 이병구 활동가.

이종걸 활동가가 옥천에서 대전으로 향하던 중 버스정류장에 ‘평등길1110’ 스티커를 붙이고 있다. 1110은 국회에 도착하는 11월10일을 뜻한다.

이종걸 활동가(오른쪽)와 미류 활동가가 11월1일 청주역 앞 버스정류장에서 쉬고 있다.

대형 화물차량이 많이 오가는 국도는 위험하다. 이종걸 활동가가 제법 뒤처진 참가자와 보조를 맞춰 걷는 미류 활동가를 기다리고 있다.

차별금지법 제정에 뜻을 함께하는 활동가와 시민들이 11월1일 은행잎이 노랗게 물든 청주 시내를 함께 걷고 있다.

이종걸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활동가(왼쪽). 미류 인권운동사랑방 활동가.
옥천·대전·청주=사진·글 박승화 기자 eyeshoot@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 파면 이틀째 ‘관저정치’ 중…“대통령 아니라 집단 보스”
‘윤석열 파면’에 길에서 오열한 김상욱 “4월4일을 국경일로”
‘탄핵 불복’ 이장우 대전시장, 윤석열 파면 뒤 “시민 보호 최선” 돌변
“토하고 또 토했다…그래도 큐를 놓을 수 없었다”
이재명, ‘대장동 증인 불출석’ 과태료 처분에 이의 신청
“주가폭락에 퇴직연금 증발 중…트럼프는 골프 중” 부글대는 미국
윤석열, 오늘은 나경원 1시간가량 독대 “고맙다, 수고했다”
윤석열 파면 직후 대선 승리 다짐한 국힘…“뻔뻔” “해산해야”
윤석열, 박근혜보다 관저퇴거 늦어질 듯…“이번 주말은 넘겨야”
“이제 전광훈 처벌을”…탄핵 기각 대비 유서 썼던 목사님의 일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