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22년 10월12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공동취재사진](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749/imgdb/original/2022/1015/1516658250015663.jpg)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22년 10월12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1년6개월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었던 ‘오늘’이다. 2021년엔 빚내서라도 투자하지 않으면 바보 취급을 당했다. 처음에는 주식이었고, 그다음에는 부동산, 그리고 그다음에는 가상화폐까지 ‘투자 열풍’이 불었다. 금리가 낮았기 때문이다. 기준금리 0.5% 시대. 저축해도 이자가 거의 없고, 자산투자를 해야만 돈을 불릴 수 있었다.
1년6개월 만에 세상이 바뀌었다. 2022년 10월12일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연 2.5%에서 연 3%로 0.5%포인트 올렸다. 2022년 4·5·7·8월에 이어 기준금리를 다섯 차례 연속 인상한 것은 한국은행 역사상 처음이다. 기준금리가 3%를 찍은 건 2012년 10월 이후 10년 만이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시중은행 대출금리도 함께 오른다. 예를 들어 아파트를 사기 위해 2021년 7월 변동금리로 3억6천만원을 빌렸다면 금리가 애초 2.5%에서 연내 8%까지 오를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매달 은행에 내야 할 원리금은 142만2435원에서 264만1552원으로 늘어난다. 또 주식이나 코인을 사기 위해 신용대출로 1억원을 빌렸다면 금리가 2.9% 수준에서 연내 10% 안팎까지 치솟을 수 있다. 이 경우 월 이자액은 24만1667원에서 83만3333원으로 급증한다.
금리가 오르내릴 수 있다는 것을 망각하는 건 ‘오래된 습관’이다. 2007년 전세계를 덮친 금융위기 뒤 나온 책 <부채의 습격>(2010년)은 한국의 급증한 가계부채와 고금리 상황을 경고한 바 있다. “보통 사람들에게 인플레이션이 올지 디플레이션이 올지를 예견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경제가 어떤 국면으로 가든 개인이 희생양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위기가 끝날 때까지 탐욕과 투기심을 버리고 최대한 안정적으로 내 자산을 지켜야 한다.”
이완 기자 wani@hani.co.kr
*뉴스 큐레이터는 <한겨레21>의 기자들이 이주의 놓치지 않았으면 하는 뉴스를 추천하는 코너입니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배우 김새론 자택서 숨진 채 발견
김새론 비보에 김옥빈 ‘국화꽃 애도’…지난해 재기 노력 끝내 물거품
눈살 찌푸리게 한 금남로 극우집회, 더 단단해진 ‘광주 정신’
계엄군, 국회 본회의장 진입 막히자 지하로 달려가 전력차단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대통령실, 광주 탄핵찬성 집회 ‘윤석열 부부 합성 영상물’ 법적 대응
대통령·군부 용산 동거 3년…다음 집무실은? [유레카]
질식해 죽은 산천어 눈엔 피가 맺혔다
[단독] 명태균 “오세훈 ‘나경원 이기는 조사 필요’”…오세훈 쪽 “일방 주장”
[단독] 수사2단, ‘노상원 부정선거 자료’ 보며 선관위 출동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