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셀프 ‘독박육아’를 하다

아내가 집에 없다고 가정하고 육아·가사 병행하기
등록 2017-08-01 17:12 수정 2020-05-02 19:28
조합원으로 참여하는 마포의료생협의원에서 도담이 정기 검진을 받았다. 김성훈

조합원으로 참여하는 마포의료생협의원에서 도담이 정기 검진을 받았다. 김성훈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출장이 끝나자마자 계획에도 없던 여름휴가를 썼다. 또다시 ‘독박육아’를 뒤집어쓴 아내에게 도저히 고개를 들 수 없어서다. 휴가 목표는 단 하나, 육아다. 강원도 양양이라도 가볼까 싶었는데 목을 완벽히 가누지 못하는 도담이가 고생할 게 뻔해 XYZ 기자의 바캉스 기사(제1172호 특집1 ‘어쩌다 양양 에라 바캉스’ 참조)나 읽으며 기분만 내기로 했다.

휴가 동안 아내와 함께 정한 규칙은 간단하다. 외출이나 모유 수유처럼 아내가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아내가 집에 없다고 가정한 ‘셀프 독박육아’다. 그간 고생한 아내에게 휴식을 주려는 목적도 크지만, 그보다는 육아·가사 병행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느껴보자는 생각에 더 가까웠다.

첫날은 예상대로 허둥지둥했다. 아내 대신 침대에서 도담이 옆자리를 차지했다. 새벽 5시에 일어난 도담이의 옹알이에 잠에서 깬 뒤 비몽사몽으로 도담이와 놀아주다가 칭얼거리면 유모차에 태워 ‘빠방’(우리 부부와 도담이 사이에 통용되는 ‘외출’의 다른 말)하러 나간다. 그 사이에 쌀을 씻어 밥을 안친다. 동네를 한 바퀴 뺑 돈 뒤 집에 들어와 아침 식사를 차린다. 이후 청소, 빨래, 설거지, 낮잠 재우기, 빠방을 차례로 반복하면 해가 뉘엿뉘엿 넘어간다. 도담이를 씻긴 뒤 재우면 비로소 하루가 끝난다. 단순 반복되는 일이 전부인데 취재하고 마감하는 것보다 곱절 이상 시간이 빨리 가(는 것 같)고, 노동량도 만만찮다. 아이를 재운 뒤 영화를 보거나 독서·게임 같은 혼자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기대했으나, 다음날 새벽 일어나기 위해 잠자리에 일찍 들기 바빴다. 휴가 닷새째, 내 일상은 도담이를 중심으로 돌아갔다.

“육아휴직은 언제 쓸 거야?”

지난달, 아내는 육아가 너무 힘드니 여름에 육아휴직이라도 써서 가사를 분담하는 게 어떻겠냐고 했다. 회사에 문의해보니 조직과 잘 상의해 육아휴직을 신청하면 된단다. 그런데 말처럼 쉽지 않았다. 한 명이 빠지면 나머지 기자들의 업무가 가중되는 현재의 취재팀 조직에서 1년씩이나 자리를 비우는 건 단순히 동료들의 양해를 구할 일이 아니었다. 나 스스로도 동료들의 희생을 원하지 않았다. 결국 회사가 누구에게도 피해 없이 시스템적인 대안이나 장치를 적극 마련하는 게 중요한데, 내 고민을 어떻게 꺼내야 할지 아직은 잘 모르겠다. 분명한 건 도담이를 잘 키우려면 나와 아내 모두 육아와 가사에 매달려야 한다는 사실이다.

셀프 독박육아가 닷새 남았다. 지난 닷새 동안 아이를 키운다는 게 얼마나 많은 직관이 필요한 일인지 절감했다. 매 순간 경험하지 않은 일이 펼쳐졌고 그때마다 행동을 결정해야 했다. 어떻게 할지 모르는 순간이 부지기수라 규칙을 어기고 아내를 소환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 내게 아내가 준 점수는 B-. “독박육아치고는 너무 의존적이야”라는 ‘한줄평’과 함께. 남은 닷새 동안 A를 목표로 정진!

김성훈 기자



독자  퍼스트  언론,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전화신청▶ 02-2013-1300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