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인생도처유상수

칼럼을 시작하며- 내 거처를 방문한 지인들의 무식이 용기 부추겨, 하찮은 그러나 아주 중요한 삶의 실용적 경험을 소개할 계획
등록 2013-03-16 17:09 수정 2020-05-03 04:27

지금은 아무리 손전화를 넣어도 연락이 닿지 않는 오 ‘사장님’은 지난 10여 년간 나와 같이 한 달이면 4∼5일을 지금 사는 이곳을 개척(?)한 일동무였다. 평생을 농사로 시작해 삽질과 막일로 늙은 60대 후반의 일당 잡부, 즉 ‘노가다’ 출신인 그를 나는 항상 ‘사장님’으로 존칭했다. 내가 고추 모종을 심어놓고 물을 주어도 시들시들해서 걱정하면 이렇게 나를 위로했다. “괜찮아요. 식물이 흙냄새 맡으면 지가 다 알아서 큽니다.” 내가 몇 번의 곡괭이질과 삽질로 허덕대면 아주 능숙한 삽질 솜씨로 숨소리 하나 거칠어지지 않으면서 내게 이렇게 한 수 지도했다. “삽질은 고봉 밥술 같으면 안 되고 회 뜨듯 해야 힘이 덜 들고 오래 할 수 있어요.”

시골 비슷한 수도권 주변으로 이사 와서 산 지 벌써 14년째, 집 주변을 정리하며 나도 꽤나 일머리가 늘었다. 뒷마당 앞에 선 아들 병곤이와 강아지 들이. 강명구 제공

시골 비슷한 수도권 주변으로 이사 와서 산 지 벌써 14년째, 집 주변을 정리하며 나도 꽤나 일머리가 늘었다. 뒷마당 앞에 선 아들 병곤이와 강아지 들이. 강명구 제공

초등학교 이래 40년 가까운 서울 한복판 생활을 접고 시골 비슷한 수도권 주변으로 이사 와서 산 지 벌써 14년째로 접어든다. 개척이라면 개척이랄까, 아니면 생활환경 기반 조성이라면 조성이랄까, 그도 아니면 노년의 준비라면 준비랄까, 하여간 집 주변을 정리하며 나도 꽤나 일머리가 늘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이런 성장(?)은 알고 보면 다 오 사장님 유의 고수들에 힘입은 바 크다. 그래서 에 칼럼 연재를 부탁받으며 가장 먼저 떠오른 문구는 유홍준의 6권 부제로 유명해진 ‘인생도처유상수’(人生到處有上手)였다.

곳곳에 산재한 이런 분들을 생각하면 감히 나의 십수 년 얼치기 준(準)시골생활을 글로 대중매체에 옮기는 것은 만용이랄밖에 달리 표현할 방법이 없다. 그렇지만 생각해보면 기댈 언덕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었다. 무엇보다 연재를 부추긴 동력은 내 거처를 방문한 지인들의 무식 수준이었다. 대부분 서울 아파트 거주자이면서 내 삶의 방식을 동경하는 이들은 ‘쌀나무’라는 표현을 쓰는 수준은 아니었지만, 내게는 아주 익숙한 삶의 일상에 무궁한 호기심과 관심을 보였다. 대개가 이런 것들이었다.

“이 많은 풀을 어떻게 관리하나? 저 무거운 돌들을 어디서 구해 어떻게 저 담을 쌓았나? 나무 전지하는 기술은 어디서 배웠느냐? 어떤 연장을 어디서 구해야 하는가?” 등등 끝도 없다. 내 답은 거의 일정했다. “하다보면 저절로 알게 됩니다. 정 모르면 책 찾아보거나 인터넷 검색하세요.” 그런데 정작 책을 보거나 인터넷 검색을 하면 대개 고담준론의 멋들어진 철학적 사유는 많은데 너무나 빤한 일이라 그런지 이들이 원하는 답은 잘 나와 있지 않았다. 이런 정도라면 ‘내가 어떻게 했는지 한 소리 할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오 사장님이 내게 훈수했듯 말이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갈 수도 있겠구나 싶었다. 일이라면 고수인 오 사장님이 “내가 해도 혼자서 이 댁처럼 해놓기 힘들지요”라며 칭찬하거나, 고개 너머 팔순이 다 되신 고모님이 “조카네 고추는 약 안 쳐도 어떻게 잘 달리나?”라고 의아해하시는 경우가 왕왕 있었다는 사실을 상기하면 나는 약간의 자신감을 더 가져도 좋으리라 생각하게 되었다는 말이다.

얼마가 될지 모르겠지만 격주로 연재할 짧은 글에서 고담준론의 사유는 살짝 고명처럼 얹고, 정성과 노력만 있다면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그런 하찮은, 그러나 아주 중요한 삶의 실용적 경험을 소개할 요량이다. 처음에는 다소 산만해 보일 수도 있지만 나중에 꿰어보면 체계적인 실사구시(實事求是)적 삶의 지혜가 독자 여러분과 함께하길 기대해본다.

아주대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