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챌 갈무리
“이상한 의무감에서, 그리고 불행하게도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어서 할 수 없이 계속 보고 있는, 그러나 갈수록 볼 게 없어져서 20~30분 이면 다 보고 마는 한겨레신문을 좀더 오래 쥐고 있을 수 있도록 일조 하거라.”
프리챌(www.freechal.com)에 개설된 대학 학회 커뮤니티에는 이런 글이 올라와 있었다. 아, 그래. 맞아. 그랬었지. 10여 년 전이었다. 89 학번 선배 누나가 “오늘 한겨레신문을 보니 남일이가 기자 최종 합격 되었네요”라며 글을 올렸다. 선배의 글에 또 다른 선배가 이런 댓글을 달았다. “신문은 20~30분이면 다 읽을 수 있어야 한다. 한겨레는 더 없이 좋은 신문이다.” 내가 기자가 된 뒤로 선배들의 신문 읽는 시간 은 늘었을까. 아니면 우리 신문은 여전히 더없이 좋은 신문으로 남아 있을까.
접속한 게 도대체 몇 년 만인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몇 번씩 틀려가 며 어렵게 로그인한 프리챌에는 10년 전 선배들의 명민한 농담이 그 대로 보관돼 있었다. 2013년에도 여전히 왕따로 살고 있는, 세계 제일 왕따왕 선배에게 2001년 누군가 먹여주고 재워주는 ‘선행’을 베풀었더 니 “청명한 가을 하늘에 700색깔 무지개가 떴다”고 개뻥이다. 그런 무 지개가 뜬 것은 “볼셰비키 혁명 이후 처음”이란다. 내가 술에 취해 자 기 집 옷방에 오줌을 쌌다고 주장하는 글도 있었다. 쌌나 안 쌌나를 두고 벌어진, 사회구성체 논쟁 이후 최대 논쟁이라는 오줌 논쟁에서 는 “증명될 수 없음” “근대 철학의 난점” “초월자” 같은 용어가 난무했다. 비싼 돈 들여 대학 보낸 결과다. 결국 내가 싼 걸 로 결론 났지만, 몇 개월 뒤 옷방에 놓여 있던 ‘물먹는 하마’가 엎어졌다는 사실 이 드러났다. 정정 보도는 없었다. “남한 급진운동사에 길이 남을 ‘건강 혁명단체 배설파’를 조직했다”는 불쌍한 인간도 있었다. 이 단체는 “대담하게도 압구정동 로데오거리를 똥으로 도색 하려는 발상”에서 시작됐지만 실패로 끝났다.
광고
프리챌이 2월18일 밤 12시에 문을 닫는다고 한다. 그 소식을 듣고 들 어가본 프리챌은 그렇게 과거에 푹 박혀 있었다. 게시판은 어지러웠 다. 어떨 때는 농담으로 웃다가, 어떨 때는 핏대 세우며 싸웠다. 10년 전 아내의 사진도, 친구들의 사진도 있었다. 프리챌은 2000년대 초반 커뮤니티 서비스와 아바타로 인기를 끌었다. 월 3천원을 받는 섣부른 유료화로 급속하게 몰락하기 시작했다. 그래 아바타가 있었다. 내 아 바타(사진)를 찾아보니 웬 토끼머리다. 아이디가 16개라는 국가정보원 여직원은 10년 전에도 아바타 16개를 썼을까. 거의 분열증이다.
그즈음에는 검정개가 뛰어다니던 ‘라이코스’도 있었다. 프리챌 문 닫기 전에 사진이라도 살려놔야겠다. 다들 프리챌 한번 들어가보시길. 손 발 오그라드는 자신의 과거와 조우하시게 될 게 분명할 것이니. 어쨌 든, 까먹고 있던 과거들아, 프리챌과 함께 안녕~.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박지원, 정대철에게 “너 왜 그러냐” 물었더니 대답이…
이낙연이 어쩌다 한덕수와…“정치적 무덤, 시대의 엇박자”
대법, 이재명 선거법 상고심 5월1일 오후 3시 선고
김문수 “6개”, 한동훈 “어렵잖게 30개”…국힘 때아닌 턱걸이 매치?
한덕수 부른 국민이 도대체 누군데요…“출마 반대·부적절” 여론 압도
[단독] ‘한나라당’ 출신 권오을 전 의원, 오늘 경북서 이재명 지지 선언
홍준표 “제 역할은 여기까지”…탈당·정계은퇴 선언
‘경선 탈락’ 홍준표 정계은퇴…“오늘로써 정치인생 졸업”
김문수·한동훈, 국힘 결선 진출…안철수·홍준표 탈락
한덕수, ‘권한대행 재판관 지명금지’ 헌재법 개정안에 거부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