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김남일 어디 갔어’라며, 시대를 걱정하는 눈 밝은 독자가 있으 실까봐 한 말씀 올린다. 김남일은 을 떠나 로 자 리를 옮겼습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어디 멀리 가지 않았습니다. 김 남일은 언제나 여러분 마음속에 있으니까요(저에게 언론중재를 걸 겠다고 하셨던 분만 저를 찾지 마시고 김성환 기자를 찾아주세요).
어쨌든 출입처를 바꾸고 보니 ‘프로토콜’이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느 낀다. ‘합’이 중요하다는 거다. 새 출입처는 새누리당이다. 기자칼럼 ‘부글부글’에 모셨던 분들이 참 많은 곳이다. 어제의 ‘부글 러’가 의관을 정제하고 환한 미소를 지으며 이분들을 대하게 됐다. 참고로, 나는 그런 방향 전환에 아주 능하다. 나쁜 의미로 받아들이 지 말자. 사람이 다 그렇지. 기자만 그런 건가?
새누리당 출입 첫날인 3월21일 밤.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두고 여야 의 롤러코스터 협상이 이어졌다. 타결을 한다, 안 한다. 밤이 늦어질 수록 자꾸 어깃장을 놓는 야당이 미워졌다. 자정을 넘겨 퇴근하자 니, 이건 다 야당 때문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기자가 다 그렇지. 나만 그런 건가? 하지만 그건 나만의 유턴일 뿐. 새누리당은 신출내기 출 입기자, 그것도 기자에겐 별 관심이 없어 보인다. 출입 첫날 점심은 국회 구내식당에서 동료 기자와 먹었다. 외로웠지만 2800원 짜리 밥은 의외로 맛있었다. 꿋꿋해지자.
불현듯 검찰에 처음 출입하던 때가 생각났다. 참여정부가 끝나가던 시기의 기자들은 외로웠다. 밥 한번 같이 먹자는 검사가 참 드물었다. 그때 함께 밥을 먹은 검사들은 지금도 기억한다. 원래 배 고플 때 잘해주면 오래간다. MB 정권 초기 그런 상황이 더 심해졌 다. 우리끼리 자주 밥을 먹다보니 기자들끼리는 어느 때보 다 서로 친해졌다. 나만 친해진 건가?
정당과 관련해 남아 있는 구체적인 기억은 1985년 초에 박혀 있다. 그해 2월에 12대 총선이 있었다. 아침부터 누군가 초인종을 눌렀다. 추운데 누구야, 이러며 내복 바람으로 문을 열었더니 웬 남자가 묻 지도 따지지도 않고 ‘어른들께 드리라’며 포장 꾸러미를 주고 갔다. “왜요? 왜요? 왜요?”라고 물었지만 남자는 뒤도 안 돌아보고 옆집 초인종을 누르고 있었다. 우리만 주는 게 아니구만. 어른들께 안 보 여주고 일단 뜯었다. 뭐, 대단한 건 아니었다. 석유 냄새가 옅게 밴 하얀 수건에는 귀퉁이가 꼬인 빨간색 로고(사진)가 새겨져 있었다. ‘민주정의당’이라는 글자가 선명했다. 당시 총선을 앞두고 신한민주 당 돌풍이 거셌다. 집집마다 수건 한 장으로 표를 사려는 저렴한 매 수였던 셈이다. 그즈음부터 집에 배달되던 를 보기 시작 했다. 그때 내가 받았던 것인지는 몰라도 민주정의당 로고가 찍힌 수건을 아직도 가지고 있다. 대학생 때인가 엄마가 버리려고 내놓은 것을 발견하고는 기념으로 따로 챙겼다.
한 달 뒤면 4·24 재·보궐 선거다. 요즘 공직선거법으로는 수건 한 장 받았다가 몇십 장을 토해내야 할 거다. 이제 수건 주는 곳은 돌잔 치나 체육대회밖에 없나.
김남일 한겨레 정치부 기자 namfic@hani.co.kr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명태균 1억 받고 채용한 지인 아들, 현재 용산6급 근무”
응급실 돌다 숨진 10대…법원 “거부한 병원, 보조금 중단 정당”
조국, 다음달 ‘자녀 입시비리’ 대법 판결 “사과나무 심겠다”
선거법위반 1심 중형 받은 이재명, 25일 위증교사 혐의 1심에 촉각
[영상] “대통령이 자꾸 거짓말”…수능 마친 고3도 서울 도심 ‘퇴진’ 집회에
윤 대통령 부부, 기존 개인 휴대전화 사용 중단…새 휴대전화 개통
세계 5번째 긴 ‘해저터널 특수’ 극과 극…보령 ‘북적’, 태안 ‘썰렁’
‘반쪽’ 사도광산 추도식…‘조선인 강제 동원 언급’은 끝내 없었다
검사로 돌아간 한동훈, 이재명 유죄 ‘반사이익’ 어림 없다
“국민 요구 모두 거부하니”…서울 도심서 ‘윤 대통령 거부’ 행진·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