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이즈 2집 앨범
“너에게 원한 건 어려운 고백은 아냐 날 사랑하는 것만큼 표현해주는 것 내가 느낄 수 있도록.” 1993년 4인조 남성그룹 ‘노이즈’가 이라는 노래를 들고 나왔다. 반응은 뜨거웠다. 누구나 1절만 들으면 2절부터는 따라 부를 수 있을 만큼 쉬운 멜로디와 부담 없는 리듬, 또 제아무리 몸치라도 ‘따라할 수 있을 것 같다’는 도전의식을 불태우게 만드는 쉬운 안무까지. 노이즈의 이 노래 가사는 1990년대 초·중반 가요계를 그대로 보여준다. 당시 대중이 가요에 원한 건 어려운 음악이 아니었다. 그저 신나게 표현해주는 것, 대중이 따라 부를 수 있도록. 그것이 가요의 존재 이유였다.
가벼운 하우스·댄스를 내걸고 나온 노이즈는 내놓는 곡마다 ‘대박’이었다. 1집 에 수록된 에 이어 도 히트곡 반열에 올랐다. 2집에서는 듣기만 해도 마음이 편안해지는 가, 120만 장을 팔아치운 3집에서는 가 연달아 인기를 모았다. 노이즈는 멤버 개개인이 두각을 나타내는 팀은 아니었다. 천성일, 홍종구, 한상일, 김학규로 시작해 김학규가 탈퇴하고 홍종호가 합류한 뒤 여러 번 멤버 교체가 있었지만 이름만으로 얼굴을 떠올리긴 힘들다. 다만 아무래도 댄스 그룹보다는 회사 사무실이 더 잘 어울릴 것 같던 보컬 홍종구의 얌전한 안경만이 기억에 남아 있다. 대신 노이즈의 음악만은 조금만 틀어줘도 흥얼거릴 수 있을 만큼 전곡이 쉽게 떠오른다.
요즘 아이돌은 멋있어 보이고 트렌디해 보이는 데 지나치게 집중한 나머지 콘셉트를 쉽게 가져가는 팀이 많지 않다. 지나치게 섹시하려고 노력하거나 어울리지 않게 귀여워 보이려고 노력한다. 게다가 음악은 콘셉트와 묘하게 엇나가며 한 귀로 들어와 다른 쪽으로 흘러나간다. 이럴 때 1990년대식의 단순한 전략을 잘 이용하면 아이돌 팬덤에 소구하기보다 일반 대중에 쉽게 다가갈 수 있다. 아이돌 그룹 중에는 멤버 몇 명만 활동하는 유닛 그룹이 이런 전략으로 좋은 반응을 얻는다. 대규모 그룹인 슈퍼주니어와 애프터스쿨을 주목할 만하다. 밝고 즐거운 음악을 하는 ‘슈퍼주니어 해피’와 트로트를 앞세운 ‘슈퍼주니어 T’는 등 해맑은 곡을 내놓았다. 애프터스쿨의 유닛 그룹인 ‘오렌지 캬라멜’은 등 귀에 쏙쏙 꽂히는 곡으로 애프터스쿨보다 더 큰 인기를 얻었다. 이들의 공통점은 단순한 멜로디와 웃음이 절로 나오는 재미있는 가사, 쉬운 안무다. 완전한 그룹으로 활동할 때는 무대 위에서의 카리스마를 잃지 않고, 유닛 활동을 할 때는 신비주의 대신 친근함을 앞세운 전략으로 실속을 챙긴다.
광고
노이즈부터 슈퍼주니어, 애프터스쿨을 관통하는 아이돌 코드 수직이론은 ‘쉽게 가면 성공한다’. 수직이론이 전하는 내용만큼이나 단순하고 간명한 이론이 아닐 수 없다. 독자가 기자에게 원하는 건 어려운 이론보다 아이돌을 사랑하는 것만큼 표현해주는 것이라 믿으며 이번주 아이돌 코드 수직이론, 끝!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박지원, 정대철에게 “너 왜 그러냐” 물었더니 대답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상고심 5월1일 오후 3시 선고
이낙연이 어쩌다 한덕수와…“정치적 무덤, 시대의 엇박자”
김문수 “6개”, 한동훈 “어렵잖게 30개”…국힘 때아닌 턱걸이 매치?
한덕수 부른 국민이 도대체 누군데요…“출마 반대·부적절” 여론 압도
[단독] ‘한나라당’ 출신 권오을 전 의원, 오늘 경북서 이재명 지지 선언
김문수·한동훈, 국힘 결선 진출…안철수·홍준표 탈락
홍준표 “제 역할은 여기까지”…탈당·정계은퇴 선언
‘경선 탈락’ 홍준표 정계은퇴…“오늘로써 정치인생 졸업”
이재명, 상고심 선고일 지정에 “법대로 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