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지겹게 안 변하는 데엔 이유가 있을 거다. 내가 변하자.”
그 말에 꽂혀서 시작된 인연이 만 10년이 됐다. 1999년 내가 에서 영화 담당 기자를 할 때였다. 장선우 감독과 박광수 감독의 대담에서 장 감독이 그 말을 했다. ‘지겹게’라는 부사가 더없이 실감났다. 그때 내가 그랬다. 한국에서 90년대 10년을 지내면서 절망 내지 냉소를 갖지 않는 사람들이 신기했다. 세상이 이토록 안 변하는데 지겹지 않으면 이상한 것 아닌가. 그런데 사람들은 세상을 지겨워하면 청산주의자로 보거나 한량 취급한다. 내게 장 감독의 말은 이렇게 들리기도 했다. 세상이 안 변하는 걸 지겹게, 지긋지긋하게 여기는 족속들에겐 그럴 만한 이유가 있을 거라고. 그렇다! 같은 족속이구나! 같은 족속의 선배구나! (그는 나보다 열 살 많다.) 일종의 커밍아웃? 스스로 뱀파이어인 줄 모르던 이가 선배 뱀파이어를 만나 자신을 알게 되는 것? (그는 뱀파이어처럼 송곳니가 나왔다.)
몇 달 뒤 장 감독의 영화 이 완성돼 영상물등급위원회에서 일반극장 상영 불가 판정을 받았다. 나는 에서 세상을 지겨워하는 이들의 사랑 이야기를 봤고, 그 사랑은 더없이 슬펐다. 상영 불가 이유는, 영화 속의 가학·피학적 행위였지만 지금 돌이켜보면 그건 트집이었다. 세상을 지겨워하는 ‘뱀파이어’들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게 싫었던 거다. 이 가위질당한 채, 이창동 감독의 과 동시에 개봉할 때 ‘=좋은 나라, =나쁜 나라’로 여기는 분위기가 있었다. 그때 장선우, 이창동의 대담을 마련했다. 역시 이창동 감독은 달랐다. 의 속 깊은 슬픔에 공감했고, 가식 없는 어법의 용기에 존경심을 표했다. 그 대담을 전후해 장 감독과의 술자리가 잦아졌고 나이와 명성의 큰 차이에도 나는 ‘뱀파이어 선배’와 술친구가 됐다. 성공적인 커밍아웃!
장 감독과 술 마시면서 가장 인상적인 건 말투였다. 말은 정확하게 하는데, 어미를 ‘다’로 안 끝내고 ‘어’로 끝낸다. 억양도 독특하다. 어린아이가 뭔가를 보채며 말하는 것 같다. 거기엔 에누리가 있다. 상대방과 얘기를 나눌 여지를 열어놓는다. 권위라고는 없다. 일부러 그런 말투를 연습했다는 얘기를 누구에겐가 들었는데 장 감독에게 확인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내가 술꾼의 제일 덕목으로 여기는 태도, 혼자 말 많이 하지 않는 것은 기본으로 갖추고 있어서 그와 마시다 보면 열 살 나이 차이를 곧잘 잊어버리게 된다.
말 많았던 의 개봉과 흥행 참패가 있었고, 몽골에서 크랭크인했던 이 엎어지고 2005년 장 감독이 제주도로 내려간 뒤 몇 달 지나 제주도에 갔다. 바닷가의 조그만 집이었고, 마당에 텃밭이 있었다. 장 감독은 가꿨다고 했는데, 부인 이혜영은 절로 자란 거라고 했다. 난방은 나무를 때서 했다. 검소하고 자유로워 보였다. 집에서 술 한잔 하는데 옆집 아저씨가 지금 막 잡았다며 문어 한 마리를 던져주고 간다. 놀러나가면서 장 감독이 동네 꼬마에게 “우리 소풍 간다”고 하자 꼬마가 “또 뻥치네” 한다. 마을 사람들은 아무도 긴 장화를 신지 않는데 장 감독은 자주 긴 장화를 신었다. 이혜영에게 들으니, 제주도 올 때 제일 먼저 산 게 장화였단다. ‘역시 여전히 폼을 챙기는구나.’
그 뒤로 1년에 서너 번씩 제주도에 갔다. 장 감독은 싸고 맛있는 집들을 잘 알고 있었다. 대평포구에 노부부가 하는 조그만 횟집에서 돌돔회를 콩잎에 싸먹었을 때의 그 맛이란. 꿀꺽. 그런 자유로움에도 난 장 감독이 시골 생활에 몸이 근질근질해서 곧 올라올 거라고 생각했는데 벌써 4년이 넘었다. 눌러앉으려는지 지난해엔 제주도 대평에 ‘물고기’라는 카페를 차렸다. 이 카페는 명소가 돼 사람이 들끓는다.
밀란 쿤데라는, 인류의 역사는 반복하는 악취미를 가진 반면 예술의 역사는 반복을 용인하지 않는다고 했다. 반복은 부끄러움을 모를 때 하는 거라고도 했다. 난 이 말을 떠올릴 때마다 장 감독이 생각난다. 10년 전에 그는 ‘지겹게’라는 표현을 썼다. 부끄러움을 모르고 반복하는 역사가 지겹다는 말이었을 거다. 아울러 예술가로서 그만큼 반복을 싫어했던 이가 있을까. 장 감독이 2년 전부터 쓰기 시작한 붓다의 일대기 시나리오 초고를 읽었을 때, 거기엔 장 감독 영화에서 곧잘 보였던 애잔함이 있었다. 붓다 이야기가 애잔해도 되는 건가? 지금도 짬짬이 고친다고 들었다. 그럼 애잔하지 않으면 그게 장선우 작품일까 싶은데, 장 감독은 앞에 말한 “내가 변하자”를 밀고 가고 있는 것 같다.
임범 애주가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영상] “내란 세력 선동 맞서 민주주의 지키자”…20만 시민 다시 광장에
‘내란 옹호’ 영 김 미 하원의원에 “전광훈 목사와 관계 밝혀라”
경호처, ‘김건희 라인’ 지휘부로 체포 저지 나설 듯…“사병이냐” 내부 불만
청소년들도 국힘 해체 시위 “백골단 사태에 나치 친위대 떠올라”
‘적반하장’ 권성동 “한남동서 유혈 충돌하면 민주당 책임”
‘엄마가 무서웠던 엄마’의 육아 좌절…문제는 너무 높은 자기이상 [.txt]
연봉 지키려는 류희림, 직원과 대치…경찰 불러 4시간만에 ‘탈출’
김민전에 “잠자는 백골공주” 비판 확산…본회의장서 또 쿨쿨
윤석열 지지자들 “좌파에 다 넘어가” “반국가세력 역내란”
“제주항공 사고기 블랙박스, 충돌 4분 전부터 기록 저장 안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