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얼빠지고 얼뜨고 얼치기 ‘얼’

등록 2009-06-11 17:42 수정 2020-05-03 04:25
얼빠지고 얼뜨고 얼치기 ‘얼’. 사진 온미디어 제공

얼빠지고 얼뜨고 얼치기 ‘얼’. 사진 온미디어 제공

미국 드라마에 등장하는 도시들을 ‘구글 어스’에서 찾다 보면, 지도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 미친 마을들이 있다. ‘트윈픽스’ ‘사우스파크’, 의 스프링필드…. 여기에 하나 더 추가해야 할 리스트가 생겼다. 의 캠던 카운티. 끊임없이 흘러나오는 컨트리송으로 보아 남쪽 어디인 것 같은데, 그건 뭐 중요하지 않다. 만만찮게 촌스럽고, 만만찮게 미쳤다.

이 미친 마을의 한가운데에 주인공 ‘얼’이 있다. 이름대로 얼빠지고 얼뜬데다 얼치기다. 인생은 거짓으로 얼버무려져 있고, 좀도둑질로 연명해온 가계부는 얼기설기하고, 부인이 낳은 애들의 피부색까지 얼룩덜룩이다. 어느 모로 보나 똑바른 구석이 없는 이 친구가 어느 날 10만달러 복권에 당첨된다. 그러곤 기뻐 날뛰다 자동차에 치인다. 큰 복 뒤에 큰 재앙. 인생의 이 순간에 카르마(업보)라는 걸 깨달은 얼은 이제 ‘죽기 전에 꼭 해야 할 101가지 리스트’가 아니라, ‘새로 태어나기 위해 지워버려야 할 악행의 리스트’를 작성한다.

어린 시절 줄기차게 괴롭혔던 동네 꼬마, 자기 대신 도둑 누명을 쓰고 감옥에 간 친구, 연애를 거는 척 자동차를 훔쳐 나온 외다리 여인… 작은 종이에 빽빽하게 써놓은 리스트들이 하나둘 등장하는데, 다시 말하지만 이 동네엔 정상이다 싶은 인간이 거의 없다. 엉덩이에 모세가 홍해를 가르는 문신을 새겼다며 보여주겠다는 남자나 유산을 받아내려고 전남편에게 인디언 활을 쏘는 여자가 지극히 평균치다. 얼의 동생인 랜디가 벼룩시장에서 만난 할아버지는 성대가 안 좋아 기계로 말을 하는데, 랜디가 “루크, 내가 니 아비다”라는 영화 다스 베이더의 대사를 시켜보자 아무 생각 없이 해주신다. 이 할아버지는 이후에도 잠깐씩 등장하는데 정말 그 무표정에 얼이 시키는 대로 이것저것 해주는 모습이 배를 잡게 만든다.

광고

얼의 분투는 헛다리 짚기 일쑤이고 긁어 부스럼이 되기도 한다. 그래도 얼렁뚱땅 20분 정도의 짧은 에피소드 속에서 사건이 정리되는 게 참 신기하다. 사실 감동의 결론이야 뻔할 수 있지만, 그 사이에 우리는 롤러코스터를 타듯 온갖 기행의 코미디로 살짝 정신착란 상태가 돼 있기에 재빨리 납득해버린다. 얘들이 이 정도라도 해낸 게 어디야?

사실 ‘카르마’라는 테마를 처음 접했을 때는 철 지난 ‘동양 페티시즘’인가 했다. 그러나 이 코미디를 만들어내는 중추가 바로 이 업보들이다. 얼의 갱생 프로젝트에는 만만찮은 바보 동생 랜디가 함께하는데, 빈번한 플래시백으로 등장하는 이 형제의 과거가 계속해서 사건들을 풍성하게 만든다. 그리고 바람기 많고 욕망에 충실한 전부인 조이가 사사건건 얼을 걸고넘어지는데, 생각해보면 그녀야말로 얼의 가장 큰 업보다. 이 정도면 카르마 중에도 하드코어인데, 얼은 조이의 새 남편인 순둥이 ‘크랩맨’과 가장 반갑게 인사를 나누는 사이다. 얼이라는 이 사나이, 사실은 이미 부처인 게다. 다만 업보가 없으면 인생이 재미없으니 적당히 스펙터클한 업보를 만들어둔 거지.

이명석 저술업자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광고

4월3일부터 한겨레 로그인만 지원됩니다 기존에 작성하신 소셜 댓글 삭제 및 계정 관련 궁금한 점이 있다면, 라이브리로 연락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