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후 경기 연천군 백학면 전동리 명인구씨의 농장에서 1주일전 태어난 송아지가 어미소와 함께 있다. 최근 송아지를 포함한 소값 폭락으로 한우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연천/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지난 1~2년은 우리나라 역사상 가축이 가장 많이 수난을 당한 시기로 기억될지 모르겠다.
지난해 초 한겨울을 휩쓴 구제역에 이어 이번에는 소값 파동이다. 특히 한우 농가에서 송아지 생산을 기피해 송아지 가격이 한 달 사이 거의 반토막이 났다. 암송아지 한 마리의 가격은 지난해 12월 117만원 수준에서 1월 초 69만원까지 떨어졌다. 사료 가격 상승과 수급 불균형이 원인이었다. 서규용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이 해결책을 내놓았다. “송아지 고기 요리법을 개발해서 수요를 늘리겠다”는 것이었다. 이럴 때 정부는 마치 소방차 같다. 불이 난 뒤에야 항상 나타난다. 그나마 내놓은 대책도 마땅찮다. 그 사이 사료를 먹지 못해 하루 최대 200마리의 얼룩 수송아지가 땅에 묻히는 것으로 추정됐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나경원의 ‘태세 전환’, 윤 파면되니 “이런 결과 예상”
파면된 윤석열 사과도 승복도 없이…“국힘, 대선 꼭 승리하길”
헌재, 윤석열의 ‘적대 정치’ 질타…야당엔 관용과 자제 촉구
‘탄핵 불복’ 이장우 대전시장, 윤석열 파면 뒤 “시민 보호 최선” 돌변
외신 “‘아메리칸 파이’ 노래했던 보수주의자, 극적으로 퇴진”
[결정문 분석] ‘5 대 3의 희망’ 정형식·김복형·조한창도, 파면에 이견 없었다
[전문] ‘윤석열 파면’ 헌법재판소 결정문 ①
[속보] 중국, 미국산 수입품에 34% 추가 보복관세
검찰독재정권 2022.05.10~2025.04.04 [그림판]
시장도 환호했다…헌재 결정 20분간 원화가치 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