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자제품 시장을 양분하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짬짜미(담합)해 소비자들이 피해를 본 사실이 드러났다. 양사는 정보를 공유해 △최저가 제품 생산 중단 △출하가 인상 △장려금·상품권 축소 등을 합의해 실행했다. 양사의 제품 가격이 같은 시기에 올라 이를 이상하게 여긴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에 착수할 움직임을 보이자 LG전자가 자진신고를 했다. 삼성전자도 뒤따라 자백했다. 공정위는 삼성에 258억1400만원, LG에 188억33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지만, 자진신고자 감면 제도에 따라 LG는 과징금 전액을, 삼성은 절반을 면제받을 것으로 보인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나경원의 ‘태세 전환’, 윤 파면되니 “이런 결과 예상”
파면된 윤석열 사과도 승복도 없이…“국힘, 대선 꼭 승리하길”
시진핑, 트럼프를 때리다…미·유럽 증시 패닉
[전문] ‘윤석열 파면’ 헌법재판소 결정문 ①
헌재, 윤석열의 ‘적대 정치’ 질타…야당엔 관용과 자제 촉구
중국, 미국산 수입품에 34% 추가 보복관세
‘탄핵 불복’ 이장우 대전시장, 윤석열 파면 뒤 “시민 보호 최선” 돌변
외신 “‘아메리칸 파이’ 부른 보수주의자, 극적으로 퇴진”
시장도 환호했다…헌재 결정 20분간 원화가치 급등
[결정문 분석] ‘5 대 3의 희망’ 정형식·김복형·조한창도, 파면에 이견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