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죄책감은 수거함에…우리가 처리할게

③ 당신들의 비윤리
패스트패션 기업 ‘재활용, 친환경’ 정책 실태 추적기
환경 오염·노동 착취·동물권 ‘기업 책임’ 여전히 남아
등록 2024-12-27 22:09 수정 2025-01-02 17:03
디자인 장광석

디자인 장광석


패스트패션 기업이 내세우는 ‘재활용, 친환경’ 정책. 어쩌면 성립조차 되지 않는 말일 수 있다. 세계 의류 생산량은 2015년 기준 매년 800억 벌에 달하는데, 이는 20년 전(다큐멘터리 ‘더 트루 코스트’)보다 4배나 증가한 수치다. 폭발적인 의류 생산 증가를 이끈 것이 ‘빠르게 만들어서 빠르게 소비한다’는 패스트패션(일명 SPA) 기업이기 때문이다.

패스트패션이 이끈 의류 생산 증가는 기후위기를 불렀다. 한국노동연구원이 펴낸 ‘기후위기와 일의 세계’(2021)를 보면, 패션산업이 섬유를 1t 생산할 때 200t의 물을 쓴다. 또 패스트패션 의류에 많이 쓰이는 폴리아마이드의 경우 섬유 1㎏당 160㎾의 전력을 사용한다. 제조 공정 과정까지 1만5천 가지 이상의 다양한 화학물질을 사용하며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의류를 생산하는 노동자들은 위험한 환경과 저임금에 노출돼 있고, 동물권을 해치는 의류 생산 방식도 여전하다. 2024년 엘런맥아더재단 보고서를 보면, 전체 생산 섬유의 80%가 폐기돼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많은 옷의 생산은 많은 비윤리의 생산을 뜻하는 셈이다.

그렇다면 패션 기업들이 내세우는 환경친화 정책은 어떻게 봐야 할까. 시도 자체는 의미가 있지만, 기업들이 제대로 된 책임을 다하는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 한겨레21 취재팀은 특히 헌 옷을 수거해 재사용을 돕겠다고 밝힌 패션 기업들의 재활용 정책을 추적기를 활용해 검증해봤다. 아울러 ‘폐페트병으로 의류를 만들겠다’ ‘탄소배출을 줄이겠다’는 등 기업들의 친환경 마케팅 또한 믿을 수 있는지 추적했다.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

[관련 기사 함께 보기]

“새 생명 불어넣는다더니…” 패스트패션 기업 수거함에 넣은 옷도 말레이에서 발견

https://h21.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56614.html

 

“영국에선 허위로 ‘친환경’ 홍보하면 기업 대표 징역형도”

https://h21.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56615.html

*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한겨레21 '당신이 버린 옷의 최후' 보도는 12월27일부터 2025년 1월2일까지 매일 이어집니다. 전체 기사가 담긴 한겨레21 통권호(1545호)는 아래 링크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https://smartstore.naver.com/hankyoreh/products/11301305789

※한겨레21 정기구독을 원하시는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한 페이지에서 구독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한겨레21은 언제나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https://magazine21.hani.co.kr/requestorg/gudok_request.jsp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