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판매는 워낙 많은 업체가 있으니까 자기들끼리 암묵적으로 매겨놓은 가격이 있어요. 소비자도 그걸 알아요. 그런데 파양은 부르는 게 값인 게, 자기가 끝까지 못 키운다는 죄책감을 이용하거든요.”
‘신종 펫숍’이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는지 비교적 잘 아는 심인섭 라이프 대표는 말했습니다. 심 대표는 2023년 4월 경기도 여주의 한 야산에 신종 펫숍이 처리업자에게 넘긴 동물 118두가 매장됐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그가 전한 신종 펫숍의 영업전략 중 하나는 “매장에 들어올 때 울면서 들어오는 사람에겐 (파양) 가격을 더 부르는 것”입니다. 이들은 죄책감뿐 아니라, 학대·유기 동물을 구한 사람의 선의도 적극적으로 이용해 더 높은 비용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업체들의 설명처럼 ‘안락사 없는 보호소’는 실현될 수 있을까요? 반려동물을 키우는 분은 아실 겁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데는 유·무형의 자원이 정말 많이 필요합니다. 기사를 쓰기 위해 ‘안락사 없는 보호소’를 표방한 업체에 파양비를 문의했을 때 업체는 500만원 내외가 들 것이라고 했습니다. 큰돈이긴 하지만, 강아지의 남은 인생을 보장하기엔 부족한 돈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신종 펫숍에서 버니를 구조한 동물보호 활동가 ‘설구아빠’는 “경제학적으로 봤을 때 아무리 봐도 절대 (업체의 설명대로) 운영될 수 없다”고 단언했습니다. 그는 2023년 초 도살장에서 구조한 개 50마리를 돌보기 위해 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설구아빠는 “한 마리를 돌보기 위해 하루 한시간씩 쓴다고 해도, 한 달이면 약 30만원이 든다”며 “청소와 산책 등을 위한 시간까지 계산하면 개 한 마리를 돌보는 데 드는 인건비가 70만~100만원”이라고 했습니다. 파양비로 300만원을 낸다고 해도 3~4개월 뒤엔 어떻게 될까요? 그렇게 파양된 일부 동물은 영업장에 방치돼 굶거나 죽고, 혹은 산 채로 암매장됐습니다. 동물보호단체들은 이 사건이 빙산의 일각이라고 봅니다. 파양이 용인되지 못하도록 신종 펫숍 규제가 시급한 이유입니다.
다만 이 산업이 유지되는 구조를 고찰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한국에선 번식장을 통한 반려동물의 대량생산, 경매장에서 이뤄지는 대량 판매와 유통, 쉬운 입양 등의 요인이 어우러지면서 많은 사람이 손쉽게 반려동물을 입양할 수 있습니다. 파양 수요는 그대로 둔 채 신종 펫숍만 규제한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라는 거지요.
서혜미 기자 ham@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경찰 “경호처 또 막으면 체포…공수처와 윤석열 2차 영장 집행”
물리학자 김상욱의 ‘응원’ “한남동 키세스 시위대는 우주전사”
[단독] 계엄 해제 가결 뒤 ‘용산행 육군 버스’…탑승자는 계엄사 참모진
[속보] 공수처 “체포영장 기한 연장 위해 법원에 영장 재청구”
‘3무’ 공수처…준비 없이 영장, 의지 없이 퇴각, 책임 없이 일임
최상목의 자기합리화…‘석열이형’에게 미안해서 [1월6일 뉴스뷰리핑]
‘25년째 복역’ 무기수 김신혜, 재심서 ‘친부 살해 혐의’ 벗었다
이준구 교수 “윤석열, 어디서 법을 배웠길래…저렇게 무식할까”
‘관저 김건희 개 산책 사진’ 어디서 찍었나…“남산에서 보인다길래”
국회, 8일 내란·김건희 특검법 등 8개 법안 재의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