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1월25일 오후 서울 시내 한 30평대 아파트 우편함에 관리비 고지서가 꽂혀 있다. 연합뉴스
올겨울 에너지 비용이 상승하리라는 예고에도 손 놓고 있던 정부가 뒷북 대응에 나섰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2023년 1월26일 아침 한시적으로 취약계층 117만 가구를 위한 에너지바우처 지원액을 15만2천원에서 30만4천원으로 두 배 올린다고 발표했다. 2022년 12월분 난방요금이 크게 오른 고지서가 최근 각 가정에 배달된 뒤 민심이 술렁이자 내놓은 대책이다.
에너지 비용이 오른 건 2022년 초 러시아가 일으킨 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이 컸다.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독일 등 유럽 국가에 러시아는 천연가스 공급 중단으로 위협했고, 유럽에서 중동 등 다른 나라로 가스 공급처를 돌리는 것으로 대응하자 가스 가격이 폭등했다. 이에 전세계는 일찍부터 ‘에너지 허리띠 졸라매기’에 들어갔다. 독일과 덴마크는 실내온도를 19도 이상으로 올리지 말 것을 독려하고, 일본도 2022년 12월부터 가정과 기업에 전기 절약을 요청했다.
한국 가정에도 에너지 비용 상승 ‘한파’가 도착하는 것은 사실 시간문제였다. 도시가스 요금은 2022년 네 차례 인상해 전년 같은 기간에 견줘 38.5% 올랐고,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서 쓰는 열(난방·온수) 요금도 37.8% 오른 상태였다.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정책위원은 “대책을 세우는 것이 정부 역할인데, 사실상 대책 없이 오다가 ‘고지서를 받아보고’ 난리가 난 것”이라고 했다. 저소득층과 서민층 지원뿐만 아니라 단열 등 주택 리모델링, 에너지 가격 제도 개편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할 때 정부는 한국가스공사를 대규모 적자로 몰아넣고도 손 놓고 있었다는 것이다. 반면 정부가 직접 지원에 나선 나라들도 있다. 일본은 가정의 전기요금(kWh당 7엔)과 가스요금(㎥당 30엔) 일부를 지원한다. 독일도 90억유로(약 12조5천억원)를 투입해 2022년 12월 가스요금을 정부가 일부 대신 내주기로 했다.
이완 기자 wani@hani.co.kr
*뉴스 큐레이터: <한겨레21> 기자들이 이주의 놓치지 않았으면 하는 뉴스를 추천합니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오타니의 완벽한 드라마…‘MVP 맞대결’ 트라우트 잡고 대관식
“윤석열식 제3자 변제, 세계 외교사 기록될 문제적 해결책”
대법원 판결을 “걸림돌” 취급한 윤 대통령, 일본에 또 ‘숙이기’
검찰-이재명, 대장동 ‘4895억 배임’ 혐의가 핵심 승부처
대선판 흔든 대장동 의혹…이재명 기소까지 ‘검찰의 시간 539일’
개그맨 박성광의 영화감독 도전작 ‘웅남이’ 평가는요…
새마을금고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한달새 9천억원 늘어
검찰, 이재명 기소…‘대장동 배임·성남FC 뇌물’ 혐의
‘월 100만원 외국인 가사도우미’ 법안, 논란 속 하루 만에 철회
이재명 “검찰의 ‘답정기소’…진실은 법정에서 가려질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