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한테 궁금한 게 없으실 텐데….”
최이진(49) 독자는 평범한 공무원인 자신을 “인터뷰하겠다”는 기자의 전화를 받고 ‘당황’은 아니고 ‘의아해’했다. “독자들이 기자들을 궁금해하듯 기자도 독자가 궁금하다, 다른 독자들도 ‘어떤 사람들이 을 읽는지’ 궁금해한다”고 설득했다. 최씨의 우려는 기우였다. 30분33초간 통화에서, 최씨는 받아쓰기도 바쁠 정도로 취재 아이템을 쏟아냈다. 기획 회의를 방불케 하는 ‘생산적인 인터뷰’였다.
최씨는 농업연구사다. “농작물을 연구하느냐”고 했더니,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했다. 독거노인, 학교 밖 청소년, 우울증 환자, 교정시설 수용자 등을 위해 여러 치유농업 활동을 개발한다. “아픈 사람을 치유하는 것을 넘어, 행복한 사람을 더 행복하게, 건강한 아이를 더 건강하게 만드는 쪽으로 개념이 확대되는 추세”라고 했다. 최근 학교 교육의 화두인 ‘융합 교육’ 과정도 개발한다. 식물과 함께 동물을 키우거나, 원예 활동과 미술·인문·과학 활동을 결합한다.
간단한 자기소개를 마친 최씨는 “왜 에 농업 기사는 별로 없느냐”고 섭섭해했다. “치유는 모든 분야에서 전세계적인 트렌드고, 치유농업·치유조경 등 의미 있는 보도자료를 내도 기자들이 관심이 없다”는 것이다. 그는 “요즘 주말농장이나 텃밭도 치유농장으로 바꾸는 추세”라고 했다. ‘대세 키워드’를 놓친 기자는 일침을 맞은 듯 뜨끔했다.
최씨는 주로 “출장 때” 을 본다. 정기구독을 신청한 건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인 남편인데, 주로 “당직 때” 을 본다. 사실 가족 중 가장 열혈 독자는 아들이다. 올해 고3이 되는 정성욱 학생은 언론·미디어에 관심이 많아, 을 ‘평가’하면서 읽는다고 했다. 아들의 가장 큰 불만은 “기사가 너무 긴데 시각적으로 읽기 쉽게 정리가 잘 안 된다”는 점이다. 바로 이번호에 그 ‘너무 긴 기사’를 잔뜩 출고한 기자의 마음이 좌불안석이었다. 최씨와 아들은 대입 관련 교육 기사도 보고 싶다고 했다. 기자에게 “요즘 고3 학부모에게 가장 뜨거운 관심사”라는 ‘기사 아이템’도 선물했다. 실제 취재 계획이 있으므로, 내용은 대외비다. 대신 그 기사를 쓸 땐 “반드시 짧게 쓰겠다”고 다짐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덕유산 ‘눈꽃 명소’ 상제루…2시간 만에 잿더미로
체감 -21도 ‘코끝 매운’ 입춘 한파 온다…6일 다다를수록 추워
법치 근간 흔드는 윤석열·국힘…헌재 협공해 ‘불복 판짜기’
도올 “윤석열 계엄에 감사하다” 말한 까닭은
캐나다·멕시코, 미국에 보복 관세 맞불…‘관세 전쟁’
‘오징어 게임2’ 배우 이주실 별세…위암 투병 석달 만에
일본, 1시간 일해 빅맥 두 개 산다…한국은?
기어이 ‘관세 전쟁’ 트럼프의 속내…38년 전 광고엔 대놓고
최상목, 위헌 논란 자초하나…헌재 선고 나와도 “법무부와 논의”
반도체·철강까지 관세폭탄 사정권…한국경제 직격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