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규홍(28)씨는 과학고를 졸업한 뒤 내로라하는 이공계 대학 전산학과를 다녔다. 지금은 병역특례 업체에서 군복무를 대신한다. 이런 게 과학자의 언어 아닐까 싶을 만큼, 그는 논리와 사실에 충실하다. 야근하는 그에게 전화를 걸었다. 10~20분만 하려던 대화는 40분을 넘겨 끝났다. 새해 초 폐렴에 걸려 한 달 동안 아무것도 못했다고 했다. 미안했다.
사람에 비유하면, 한국 민주주의의 체온은 현재 몇 도라고 보나.(과학도에게 완전 비과학적인 질문)
변규홍
정당 활동을 하는 게 있나.
2012년 녹색당 당원이 됐다. 지난해 2월부터 청년녹색당 운영위원으로 일한다. 나의 핵심 가치와 맞는 부분이 있다.
그 핵심 가치는 무엇인가.
이번에 녹색당 비례대표 후보를 선출할 때 내가 투표 방식을 제안할 기회를 얻었다. 대학교수의 자문을 얻어 1인2표 누적투표제를 제안했다. 한 사람한테 2표를 줄 수도 있고, 2명에게 1표씩 줄 수도 있는 방식이다. 기존 방식보다 더 합리적이라 생각했고, 실제 이런 방식으로 녹색당 비례대표 후보를 뽑았다. 자유롭게 고민하고 제안하고 실험하고 함께 실천해볼 수 있는 당이 녹색당이다.
언론 보도에선 여전히 소수 정당이 소외돼 있는데.
그럴수록 정공법 쓰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소수 정당은 쓰러지지 않고 버티면서, 우리가 일회성으로 모인 게 아니라 진지하게 평생을 걸고 우리나라의 변화를 원하는 사람들이라는 걸 공감하도록 해야 한다.
그래도 서운한 점이 있을 것 같다.
상당히 많은 기자들이 기사에 ‘녹생당’이라고 오타를 낸다. 전자우편을 몇 번 보내도 무시하고 끝까지 안 고쳐주는 기자도 있더라.
<한겨레21> 하면 탁 떠오르는 기사는.
지금도 매일 머리맡에 두고 읽는 게 있다. 지난해 해경 녹취록이 다 조작돼 있었다는 걸 다룬 특별호(제1057호 ‘진실은 이렇게 감춰졌다’)다. 가슴에 사무친다.
쓴소리도 해달라.
최근 카카오톡에서 선물하기 기능을 만든 걸 봤다. 다음 단계도 고민해달라. 전자책 단말기에서도 잡지를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조만간 가능할 것이라고 귀띔). 페이스북 정기독자 커뮤니티(‘21cm’)에 독자로서 어디까지 글을 올릴 수 있을지 감이 안 잡힌다. 과학·기술 콘텐츠를 더 잘 많이 다뤄주길.
더 하고 싶은 말은.
몇 달 전 한 고교에 강연을 갔다. 정보기술(IT) 강연인 줄 알고 갔다가 해킹 강연이어서 당황했다. 청와대 자유게시판 해킹 시연을 해봤다. 너무 잘되더라, 2년 가까이 지났는데도.(관련기사▶ ‘청와대 누리집 게시판 보안 엉터리’)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카카오톡에서 <한겨레21>을 선물하세요 :) ▶ 바로가기 (모바일에서만 가능합니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방어막 찢고 수직하강 ‘북극 한파’…2월에도 급습할까
부처간 조율조차 않고 발표했다 철회…‘비동의 강간죄’ 뭐길래
사슴 사라진 작은 섬, 늑대는 ‘해달’ 먹고 버텼다
김여정 “미 주력탱크 불타 파철더미 될 것”…우크라 지원 규탄
‘미스터 션샤인’ 유진 초이 실존인물 유해, 100년 만에 고국으로
통학 버스선 무조건 마스크…실내 합창·응원때도 ‘착용 적극 권고’
혈당·혈압 낮추려면…60분 주기 “NO”, 30분마다 5분씩 걸어라
한라산에 눈 53㎝ 쌓였다…강한 ‘급변풍’ 불면서 또 결항 속출
‘완판’ 언급에 김건희 여사 “비싼 옷도 못 사 입는데…”
윤 대통령 친분 ‘천공’, IPTV 진출 노렸으나 결국 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