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사장이 넓고 길어 ‘거리두기’를 하며 더위를 식히기에 제격인 충남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 만리포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들이 2021년 8월6일 해변에 띄엄띄엄 자리를 잡은 채 여름을 즐기고 있다. 놀잇배를 타는 선착장 주변은 다소 붐비지만, 대여하는 파라솔은 거의 비어 있다.
열흘 넘게 이어진 35도 안팎의 찜통더위에 지친 시민들이 충남 서해안을 찾았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따른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가 상향되자 동해안과 부산, 제주의 일부 해수욕장은 문을 닫았다. 그 풍선효과로 서해안에 피서 인파가 몰릴 것을 염려했지만 8월 첫째 주와 둘째 주에 돌아본 충남 태안군 만리포해수욕장, 꽃지해수욕장, 몽산포해수욕장은 비교적 차분한 모습이었다.
만리포해수욕장 들머리에선 방역 관계자들이 발열 체크를 하고 정상 체온이 확인되면 손목에 띠를 둘러준다. 띠를 두른 피서객은 사람이 몰리는 파라솔 주변을 피해 넓은 백사장 곳곳으로 퍼져 자리를 잡는다. 바닷물에 들어가 물놀이할 때는 두셋 단위로 어우러져 물싸움을 한다. 하지만 물속에서도 피서객 대부분은 마스크를 썼다.
서해안의 명품 풍경인 낙조를 감상할 때도 일행 외에는 거리를 두려는 모습이었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이용객이 늘어난 ‘차박’(차 안에서 잠자는 캠핑) 캠핑장에선 연인 또는 가족 단위로 모여 도란도란 ‘불멍’(장작불을 보며 멍하게 있는 것)을 즐긴다. 여럿이 웃고 떠드는 시끌벅적한 모습은 보지 못했다. 가족 단위의 조용하고 차분한 피서가 ‘뉴노멀’(새로운 표준)이 됐다.
광고

충남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꽃지해수욕장에서 피서객들이 마스크를 쓴 채 물놀이를 하고 있다.

만리포해수욕장에서 파라솔과 튜브를 대여하는 상인이 빈 파라솔 아래 앉아 손님을 기다리고 있다.

꽃지해변 모래밭에서 고둥 한 쌍이 거리두기를 무시한 채 껍질 밖으로 머리를 내밀고 있다.

연인 또는 가족 단위로 꽃지해변을 찾은 시민들이 할미할아비바위 저편으로 넘어가는 노을을 바라보고 있다.
광고

충남 태안군 남면 신장리 몽산포해수욕장 오토캠핑장에서 피서객이 불을 피우고 있다.
태안(충남)=사진·글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3년 만에 망한 정권, 5년치 보은 몰아치려니…‘알박기’ 금도 넘었다
윤석열 대답 떠먹여준 지귀연…직업 대독하자 윤 ‘고개만 끄덕’
[단독] 윤석열, 나랏돈으로 캣타워 500만원에 ‘히노키 욕조’ 2천만원
한덕수 “나와 통화 뒤 관세 유예” 자화자찬…‘알래스카 LNG’ 급발진
“마지막 소명” 언급한 한덕수…전략적 모호성 유지하며 출마 저울질
‘마지막 소명’을 위해 [그림판]
LG ‘2조 상속분쟁’ 판결 촉각…‘장자승계 합의’ 무효 입증이 관건
국힘 경선, 이대로면 국민과 더 멀어지는 길로 [4월15일 뉴스뷰리핑]
[영상] 윤석열, 헌재 판단도 깡그리 부정하며 93분 ‘궤변 퍼레이드’
권성동 “한덕수, 국힘 경선 불출마”…대선 출마 여부는 언급 안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