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풍각쟁이 은진’ 묘하게 끌리네

근대 가요를 새롭게 부르는 가수 최은진의 차별화된 매력
등록 2019-01-12 13:59 수정 2020-05-03 04:29
지난해 12월 가수 최은진(맨 오른쪽)의 음반 발매를 기념하는 공연이 열렸다. 수류산방 제공

지난해 12월 가수 최은진(맨 오른쪽)의 음반 발매를 기념하는 공연이 열렸다. 수류산방 제공

1. 이난영 (1941)

“흘러간 고향길에서 둘이서 놀던 그 옛날이여/ 고요한 달빛에 젖어 정답게 속삭이던 밤/ 그대는 그 어데로 갔는가 다시 못 올 내 꿈이었던가/ 흘러간 고향길에는 잔디만 푸르렀고나/ 랄랄라랄라 랄랄라라~”

이난영은 1916년 전남 목포 유달산 자락 가난한 집안의 딸로 태어났다. 가정 형편 때문에 초등학교를 중퇴하고 16살 때 극단에 들어가 막간 가수로 활동했다. 그러다 음반사 관계자 눈에 띄어 1933년 첫 음반을 냈고, 1935년 발표한 이 크게 히트하면서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그는 이듬해인 1936년 작곡가 김해송과 결혼했다. 하지만 김해송은 한국전쟁 때 그의 곁을 떠났다. 김해송은 납북되던 중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후 이난영은 가수 남인수와 사랑에 빠져 같이 살았지만, 남인수마저 1962년 폐결핵으로 갑작스레 세상을 떠나고 만다. 자식들을 따라 미국에 건너가 살다가 귀국한 이난영은 1965년 알코올과 아편 중독 후유증에 따른 심장마비로 별세했다. 그의 나이 49살이었다.

은 이난영이 1941년 발표한 노래다. 남편 김해송이 작곡했고, 이난영의 히트곡 등의 가사를 쓴 조명암이 노랫말을 붙였다. 지금이야 그런 노래가 거의 없지만, 1970년대까지만 해도 고향은 대중가요의 주요한 소재였다. 사람들에게 고향은 늘 그립고 애틋한 이상향 같은 곳을 상징했다. 이난영에게도 고향은 각별한 존재였을 것이다. 대중음악 연구자 이준희는 “이난영은 를 비롯한 많은 곡들로 고향을 노래했다. 그렇게 잘살았던 것도 아니고, 어려운 형편 탓에 어린 시절 몇 년간 바다 건너 제주도에서 지내다 돌아오기도 했지만, 이난영에게도 고향 목포는 그립고 애틋했을 것이다. 은 16살에 고향을 떠나 무대 인생을 시작한 이난영이 흘러간 10년을 더듬으며 부른 노래라고도 볼 수 있다. 을 부르기 위해 마이크 앞에 선 이난영의 감회는 참으로 깊었을 것이다”라고 했다.

이난영의 은 음원 사이트에서도 손쉽게 찾아 들을 수 있다. 박찬욱 감독의 영화 사운드트랙 음반에도 실렸다. 노래하는 이난영의 목소리에선 고향을 향한 그리움과 애틋함, 설렘, 회한 등 여러 감정이 뒤섞여 들린다. 그래선지 들으면 들을수록 빠져든다.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란 내가, 딱히 고향에 대한 감정이 없는데도 78년 전 나온 이 노래에 끌리는 이유를, 실은 나도 잘 모르겠다.

2. 최은진 (2010)

에 끌리기는 최은진도 마찬가지였나보다. 연극배우도 하고 노래도 부르는 최은진은 타고난 예인이다. 우연한 계기로 민요 의 매력에 흠뻑 빠진 그는 2003년 나운규 탄생 100돌 기념 음반 《아리랑 소리꾼 최은진의 다시 찾은 아리랑》을 냈다. “음반을 내긴 했는데, 이걸 누가 듣겠나? 혼자서라도 불러야겠다” 싶어 서울 안국동에서 선술집 문화공간 ‘아리랑’을 열었다. 여기서 과 함께 부른 노래가 1930~40년대 일제강점기에 널리 불린 만요다. 처럼 풍자와 해학이 담긴 노랫말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장르로 대접받거나 음악사적으로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지만, 최근 들어 당시 민중의 소소한 일상을 엿볼 수 있는 자산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최은진이 부르는 만요를 듣고 홀딱 반한 음반 제작자 하나가 그 노래들을 음반으로 제작하기로 했다. 그렇게 해서 2010년 내놓은 음반이 만요 13곡을 담은 《풍각쟁이 은진》이다. 서울 홍익대 앞에서 활동한 듀오 ‘하찌와 티제이(TJ)’로 잘 알려진 일본 음악가 하찌가 프로듀서를 맡아 예스러운 느낌을 잘 살려냈을 뿐 아니라, 최은진의 목소리는 타임머신 그 자체였다. 을 공동 타이틀곡으로 삼았는데, 나는 그보다 1번 트랙으로 내세운 에 더 끌렸다. 기타와 현악기로 단출하게 편곡했는데도 깊은 울림을 줬다. 최은진의 목소리는 가벼운 몸피로 통통 튀어오르는 듯하면서 어딘지 모를 짙은 애수를 드리웠다. 원곡과 비슷하면서도 차별화된 매력을 풍겼다. 나는 원곡보다 최은진의 을 더 좋아하게 됐다.

3. 최은진 (2018)

에 끌린 사람들이 또 있었다. 선술집 아리랑 단골손님 중에는 출판사 수류산방 사람들도 있었다. 그들은 최은진이 후속 음반을 내길 원했다. 출판사이지만 처음으로 음반을 기획·제작하기로 했다. 1930~40년대 노래를 부르되 이번엔 현대적으로 재해석해보자는 게 큰 방향이었다. 그래서 섭외한 이들이 홍대 앞 인디신에서 활동하는 김현빈과 전자음악가 293(이구삼)이다. 둘은 옛 노래들을 해체하고 재구성해 색다른 분위기로 재탄생시켰다. 그 결과물이 지난해 발표한 음반 《헌법재판소》다. 수록된 10곡에 대한 해설과 당시 시대상을 전하는 글까지 담아 아예 288쪽짜리 두툼한 책으로 냈다.

음반의 인트로(도입부) 격으로 실은 1번 트랙 연주곡부터 신선한 충격이었다. 전기기타와 컴퓨터로 세련되게 주조한 사운드는 트렌디한 클럽 음악 같았다. 알고 보니 《풍각쟁이 은진》 음반의 1번 트랙 의 도입부 사운드를 응용해 만든 곡이었다. 여기에 라는 제목을 붙였다. 그리고 8번 트랙으로 마침내 가 등장한다. 을 뼈대로 하되 노랫말을 일부 바꾸고 “랄랄라랄라~” 하는 대목을 크게 늘려 이른바 ‘후크송’으로 재탄생시켰다. 그루브(리듬) 넘치는 베이스 라인은 고개를 가만둘 수 없게 만든다.

지난해 12월1일 홍대 앞 더스텀프에서 열린 음반 발매 기념 공연에 갔다가 신세계를 만났다. 노래와 연극을 결합한 음악극 형태의 무대는 신선하고 파격적이었다. 마지막에 를 부르는 순간 백댄서들과 관객이 한데 어우러져 기차놀이를 했다. 세대, 국경, 문화를 초월해 우주로 향하는 기차에 올라탄 것만 같았다. 이후 내겐 꿈이 하나 생겼다. 록페스티벌의 너른 벌판에서 모두가 하나 되어 “랄랄라랄라 랄랄라라~” 떼창하며 기차놀이를 하는 날을, 나는 꿈꾼다. 그러면 거기가 바로 내 고향이 될 것이다.

서정민 문화부 기자 westmin@hani.co.kr



독자 퍼스트 언론,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전화신청▶ 1566-9595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