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이길 바랐다. 2003년 4월1일 만우절에 중국 배우 장국영(장궈룽)이 거짓말처럼 세상을 떠났다. 1994년 밴드 너바나의 커트 코베인이, 1996년 가수 김광석이 숨졌다는 비보만큼이나 커다란 충격이었다. 아니, 그보다 더했다. 나의 10대 시절 추억과 오롯이 겹치는 아이콘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눈으로는 장국영의 장례식 장면을 보는데, 머릿속에선 그 시절이 주마등처럼 스쳤다. 이후 해마다 만우절이 되면 거짓말로 장난칠 생각 대신 장국영을 떠올렸다. 그때마다 나는 까까머리 중학생으로 되돌아갔다.
10대 시절의 영화서울 잠실 석촌호수와 멀지 않은 중학교에 다녔다. 호수 근처에 작고 허름한 ‘호수극장’이 있었다. 서울 시내 개봉관에서 밀려 내려온 영화들을 뒤늦게 상영하는 재개봉관이었다. 시간의 뒤처짐을 상쇄하는 장점이 있었으니, 한 편 값에 두 편을 볼 수 있는 동시상영 시스템이었다. 영화가 끝나고도 계속 앉아 있으면 다른 영화가 시작됐다. 주머니 사정이 빤한 중학생에게 표 한 장으로 서너 시간을 즐길 수 있는 곳은 천국을 의미했다. 이라는 영화가 개봉하기도 전에 이미 ‘시네마 천국’이 존재했다.
이 영화 때문에 간 건지, 다른 영화 때문에 갔다가 얻어걸린 거였는지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다만 확실한 건, 함께 상영된 다른 영화는 까맣게 잊을 만큼 이 영화의 잔상만이 머리와 가슴을 가득 채웠다는 사실이다. 홍콩 누아르 열풍의 도화선이 된 영화 . 전설의 시작이었다. 지금 찾아보니 1987년 5월 국내 첫 개봉 당시만 해도 반응은 그저 그랬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재개봉관으로 내려오면서 입소문이 퍼지기 시작했다. 나 같은 10대가 특히 열광했다. 비디오로 출시된 뒤로는 동네 비디오대여점의 초대박 히트작이 됐다.
줄거리는 이렇다. 송자호(적룡·디룽)와 마크(주윤발·저우룬파)는 위조지폐 제작·유통을 일삼는 범죄조직의 일원이다. 어느 날 송자호가 함정에 빠져 경찰에 잡힌다. 형이 범죄자임을 몰랐던 동생 송자걸(장국영)은 충격에 빠진다. 그는 경찰이다. 형 때문에 아버지를 잃고 직장 내 신임까지 잃은 송자걸은 형에 대한 증오심을 키운다. 송자호가 감옥에서 출소하고 나니 마크는 한쪽 다리를 저는 폐인이 되어 있다. 송자호의 복수를 하다 다리에 총을 맞았기 때문이다. 조직은 후배가 장악했다. 송자호는 손을 씻고 새 삶을 시작하려 하나 조직이 가만 놔두지 않는다. 자꾸 범죄에 끌어들이려 한다. 마지막으로 한몫 챙기고 홍콩을 뜨자는 마크의 간청에 송자호는 결국 응하고, 이를 알게 된 송자걸은 형을 체포하려 한다.
검은 트렌치코트를 꺼내 입었다영화의 주인공은 송자호·송자걸 형제다. 범죄조직원과 경찰이라는 정반대 길을 걸으며 갈등을 겪다 결국엔 이를 해소하는 게 영화의 큰 줄기다. 둘 사이에 조력자처럼 등장하는 이가 마크다. 주연보다 조연에 더 가까운 인물로, 출연 분량도 많지 않다. 하지만 주요 액션 장면을 책임지는데다 형제가 화해하는 데 중요한 구실을 하며 주인공보다 더 주인공 같은 존재감을 발휘한다. 입에 성냥개비 하나 물고 긴 ‘바바리코트’(트렌치코트가 맞는 표현이지만 당시엔 모두가 이렇게 불렀다) 자락을 휘날리며 총탄을 날리는 장면은 수많은 남자 가슴에 불을 질렀다. 너도나도 바바리코트를 입고 입에 성냥개비를 물었다.
올해 만우절, 극장을 찾았다. 장국영 17주기를 맞아 한 멀티플렉스에서 장국영 기획전을 마련했다. 30여 년 만에 을 다시 보고 싶었다. 그때 하지 못했던 걸 이제야 해본다는 심정으로 검은 트렌치코트를 꺼내 입었다. 요즘 성냥개비는 구하기 힘드니 이쑤시개라도 물어볼까 잠시 생각했지만, 마스크를 써야 해서 관뒀다. 극장에 가보니 코로나19 사태 와중에도 관객이 제법 있었다. 트렌치코트 차림의 중년 남자가 많지 않을까 예상했지만, 그러고 온 사람은 나밖에 없었다. 오히려 젊은 여성 관객이 더 많았다. 10대 여학생도 있었다. ‘아, 맞다. 장국영 기획전이지.’ 뒤늦게 떠올렸다.
영화는 뭉클했다. 주윤발은 여전히 멋있었다. 다만 그때와 다른 게 있다면 나의 관점이었다. 그땐 주윤발만 보였다. 위조지폐에 불을 붙여 담배에 갖다대는 장면, 몸을 날리면서 쌍권총을 100연발쯤 되는 기관총처럼 난사하는 장면, 클라이맥스에서 처절한 최후를 맞는 장면까지 그의 일거수일투족이 내 눈을 사로잡았다. 하지만 이번에는 적룡과 장국영이 연기한 형제의 감정선에 더 눈길이 갔다. 특히 앳된 얼굴의 장국영 표정 하나하나가 눈에 들어와 꽂혔다. 형제의 뒷모습을 정지 화면으로 잡으며 영화는 끝났다. 엔딩 크레디트가 올라가면서 익숙한 노래가 흘렀다. 장국영이 부른 이다. 속으로 노래를 따라 불렀다. 노래가 끝나고 자막이 다 올라갈 때까지 자리에서 일어설 수 없었다. 다른 관객도 그랬다.
만우절을 앞둔 일요일 아침, 매주 게스트로 출연하는 한국방송 쿨FM 라디오 뮤직업로드 꼭지를 장국영 특집으로 꾸몄다. 장국영이 부르거나 출연한 영화에 쓰인 노래 8곡을 골라 틀었다. 첫 곡은 당연히 이었다. 다음 곡은 주제가 였다. 이날 선곡한 음악 중 가장 이색적인 곡은 사비에르 쿠가트의 연주곡 였다. 왕가위(왕자웨이) 감독의 영화 에서 장국영이 흰 러닝셔츠와 트렁크팬티 차림으로 맘보춤을 출 때 흐르던 음악이다. 1930년대에 멕시코 작곡가 로렌소 바르셀라타가 당시 멕시코 대통령 부인 마리아 엘레나에게 헌정한 곡이었으나, 이제는 장국영을 상징하는 음악이 됐다.
지금까지도 우리 곁을 날아다닌다에서 장국영은 어머니에게 버림받은 탓에 사랑을 믿지 않고 그 어떤 여자에게도 정착하지 못하는 남자로 출연한다. 영화에 이런 대사가 나온다. “발 없는 새가 있지. 날아가다가 지치면 바람 속에서 쉰대. 평생 딱 한 번 땅에 내려앉을 때가 있는데, 그건 죽을 때지.” 이 대사로 그는 ‘발 없는 새’라는 별명을 얻었다. 47년을 쉼 없이 날던 장국영은 홍콩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마지막 비상을 하고 땅에 내려앉았다. 발 없는 새의 슬픈 울음은 아름다운 음악이 되어 지금까지도 우리 곁을 날아다닌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수도권 ‘첫눈’ 옵니다…수요일 전국 최대 15㎝ 쌓일 듯
이재명 무죄, 법원 “아는 것 확인하는 통상적 증언 요청, 위증요구 아냐”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 임기만료 전역...임성근 무보직 전역 수순
위기의 이재명, 한숨 돌렸다…민주당 대여투쟁 고삐 죈다
[영상] ‘8동훈’ 꺼내든 최고위, 한동훈과 정면충돌…“당 대표 흔들기냐”
고려대 교수 이어 학생도…“함께 외칩시다” 시국선언 제안
검찰, ‘불법 합병’ 이재용 2심도 징역 5년·벌금 5억원 구형
새가 먹는 몰캉한 ‘젤리 열매’…전쟁도 멈추게 한 이 식물
[단독] 사도광산 추도식 2주 전 부랴부랴 피해자에 연락한 윤정부
세계 5번째 긴 ‘해저터널 특수’ 극과 극…보령 ‘북적’, 태안 ‘썰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