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이 지나간다>의 ‘야행’ , 편혜영, 창비
[밤] “인체의 내부는 언제나 밤이다”라고 말한 것은 캐나다의 시인 크리스토퍼 듀드니였다. 시적인 통찰로 가득 찬 은 밤에 관한 정밀한 백과사전이라 할 수 있다. 아무리 눈부신 햇빛도 몸의 내부에 다다르지 못하며, 우리 모두는 어머니의 자궁이라는 ‘육체의 밤’에서 태어났다. 밤의 어둠은 우리의 시작점이자 종착지다. 밤이 찾아오면 낮과는 전혀 다른 시간이 몸을 감싼다. 일상적인 것들이 정지하는 그 순간에 밤은 휴식과 축제, 불안과 고독, 혼돈과 붕괴라는 여러 겹의 시간을 쏟아낸다. 밤이 오면 낮에 자명해 보이던 것들은 아득한 미지의 것으로 변한다.
편혜영의 에 수록된 단편들은 밤과 비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건조하고 정확한 문장들은 예감으로서의 밤과 삶의 현재진행형으로서의 밤을 동시에 보여주며, 피할 수 없는 불안의 시간을 대면하게 만든다. 삶의 사소한 기미들이 얼마나 거대한 붕괴와 무의미와 연결돼 있는지를 편혜영처럼 날카롭게 보여주는 작가도 드물다. 이라는 단편에서 철거가 임박한 아파트에서 통증에 시달리는 노인은 자기를 데리러 온다고 한 아들을 기다리고 있다. 단전으로 인해 밤이 완전한 어둠이 되었을 때, 알 수 없는 누군가가 방문한다. “어떠한 위협이나 경고 없이, 약탈이나 폭력도 없이, 인사말이나 사과의 말도 없이” 그 집을 방문하고 잠시 그녀를 응시하다 돌아가는 낯선 사람은 가늠할 수 없는 밤을 데리고 온 사람일지도 모른다.
소설의 첫 장면에서 그녀는 부엌에서 뒷물을 하고 있다. “이미 통제력을 상실한 아랫도리는 언제나 눅진”했으며, “벌거벗은 아랫도리는 주검의 일부처럼 보였다. 그것은 십 년도 더 전에 보았던 남편의 시신을 연상시켰다.” 삶이 어디로 갈지를 구체적인 실감으로 말해주는 것은 몸에 대한 수치스러운 감각이다. 뒷물조차 힘든 그녀의 몸은 자기 몸속의 어둠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다. “일생을 통틀어 이만 번도 넘게 검은 밤을 맞았을 텐데, 끊임없이 밤이 지나갔을 텐데, 어둠의 질감을 분간하고 그로써 시간을 짐작할 수 없다는 것”에 절망할 필요는 없다. ‘이만 번의 밤’은 매번 달랐겠지만, 그 시간의 세부를 기억해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만 번의 밤이 기억조차 나지 않을 마지막 밤은 아직 오지 않았다. 간절하게 기다리는 사람이 언제 올지 알 수 없는 것처럼, 마지막 밤이 언제 오리라는 것을 알 수 없다. 그 마지막 밤을 향해 있는 것이 이만 번의 낮과 밤이라면, 오늘 이 밤은 마지막 밤의 유예이자, 마지막 밤이 허락한 지금 살아 있는 몸의 증명이다. 이만 번의 밤은 제각각 현재형으로서의 밤이었으며, 그 모든 밤이 일거에 과거형이 되는 시간에도, 우리는 마지막 밤을 현재로서 겪게 될 것이다. 삶을 가능케 하는 것은 오늘 이 시간의 밤이다.
이광호 문학평론가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해뜰날’ 가수 송대관 별세
“부당 지시 왜 따랐냐”…윤석열 ‘유체이탈’ [2월7일 뉴스뷰리핑]
“더 시추해야” “문재인 때 계획”…국힘, 대왕고래 실패에 당혹
“부당 지시 왜 따랐냐 묻는 윤석열, 사람 바닥 보는 듯”
내란사태 2달…군 서열 ‘넘버 9’ 김선호 국방차관의 재발견
‘새벽 지진’에 중대본 가동… 충주 앙성면 규모 3.1
눈길 견인차에 치여 버스기사 숨져…폭설·한파에 사고 속출
“윤석열도 사전투표 합니다” 했던 국힘의 ‘부정선거 음모론’ 올라타기
140억배럴 산유국 ‘헛꿈’…석유·가스 개발 “원점 재검토해야”
“삐~ 삐~” 한밤 중 재난문자 알고 보니…충북 충주 3.1 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