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현산의 , 난다 펴냄
기억이 고통과 행복 중 어느 편에 속하는지 묻는 것은 무기력한 일이다. 기억은 어둡고 뻑뻑한 시간 속에 현재를 감금하기도 하 며, 무의미한 현재를 견디게 하는 축복이 되기도 한다. 기억은 아름다움의 형식 이 되기도 하며, 미지의 타인들과 연결되어 있는 시간의 지층들을 감각하게 한 다. 그것을 기억의 미학적 차원과 윤리적 차원이라고 말해도 좋을 것이다.
불문학자이고 정밀한 문학비평가인 황현산의 산문집 는 문장 의 근육을 자랑하지 않으면서도 유려함과 통찰력을 부드럽게 녹여내고 있다. 이 산문집 가운데 역사·기억·시간과 같은 주제들이 도처에서 반짝거리고 있 는 것은, 단지 그의 연륜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아름답게 표현하고 싶다’는 욕 망과 ‘사람들이 자유롭고 평등하게 사는 세상을 그리워하는 것’이 만나는 지점 은 ‘역사적 기억’과 ‘기억의 윤리성’ 안에서다. 자신의 유신시대를 기억하면서 그 시대의 억압을 망각하는 현실에 대해 “과거도 착취당한다”라고 말하는 것과, 1980년대를 기억하려는 영화에 관해 “기억이 없으면 윤리도 없다”라는 명제를 가져오는 것은 같은 맥락 속에 있다. “미학적이건 정치적이건 한 사람이 지닌 감수성의 질은 그 사람의 현재가 얼마나 두터우냐에 따라 가늠될 것 같”기 때 문이다. 그렇다면 ‘중앙정보부 시대’로 되돌아간 최근의 사태는 역사적 기억에 대한 자발적인 망각을 보여주는 ‘두 겹의 착취’라고 해야 할까?
현재를 두텁게 만드는 기억술은 지나간 아름다움을 현현하게 하고, 다른 시간 에 속한 타인들의 고통을 만나게 한다. 그래서 장소에 대해 “기억이 한 땅을 다 른 땅과 다르게 하고, 내 몸을 나도 모르게 움직이게 한다”라고 말할 수 있으며, ‘사이다’를 마시고 취해버렸던 어린 시절의 마법 같은 시간의 기억을 “바닥에 깔 려 있는 시간”이라고 호명하게 하며, “모든 예술적 전위의 다그침은 역사적 시 간의 파괴가 아니라 그 믿음을 가장 날카롭게 곤두세워 믿어야 할 시간과 자기 사이에 어떤 운명의 장치를 만드는 일이다”라고 쓰게 한다. 누구에게나 기억의 한계를 마주하 는 순간이 있다. 참혹한 기억이 너무 생생해서 아침 햇살이 지옥처럼 느껴지거나, 가장 황홀 했던 시간의 세부를 기억 못하고 늙어가는 것 이 문득 두려워지는 때. 살아 있다는 것은 기억 이 남아 있거나 혹은 기억이 사라져간다는 것 을 동시에 의미한다. 기억은 언제나 완전하지 않다는 측면에서 미지의 가능성이다. 이런 이 유에서라면, 기억은 ‘나’의 시간에서 빠져나와 미래에 속한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승복 주체’ 바뀐 국힘…이재명 “윤석열이 헌재 결정 승복해야”
아이유, 극우 ‘좌파 아이유’ 조롱에 “감당해야 할 부분”
전 서울대 총장 “하해와 같은 마음으로 용서”…윤석열을?
윤석열, 장제원 사망에 “가슴 아파”…피해자 언급은 없어
계엄·포고령·국회장악…하나라도 중대 위헌이면 윤석열 파면
“저희 어무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클릭…거기가 어딥니까
헌재 길목서 ‘키세스 이불’ 덮고 밤샘…“비상식적 선고 날까봐”
오세훈 부인 강의실 들어갔다가 기소…‘더탐사’ 전 대표 무죄 확정
보령머드 ‘장인’의 5천원 뚝배기…“다이소 납품, 남는 건 인건비뿐”
[사설] 헌재 ‘윤석열 파면’ 지연이 환율·신용위험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