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등기된 이름을 들여다볼 때가 있다. 주민등록증이나 여권을 다시 만들었을 때, 혹은 오래된 학창 시절의 성적표 따위를 들여다볼 때, 거기 등재된 이름이 기이하게 느껴지는 순간이 있다. 그 이름은 ‘나’라는 사람의 공적인 기호이지만, 그 이름은 ‘내’가 통과한 시간에 대해 아무것도 말해주지 않는다. 이름은 텅 비어 있다. 그런데도 이름을 영혼의 표지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그리운 사람의 이름을 부르다/ 막다른 골목에 몰린 적이 있는가/ 자기 이름을 부르다 돌아온 적 있는가”(이윤학, ‘씨앗을 보이는 열매’) 그런 서늘한 순간이 있다면, 그 이름은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며, 주문처럼 외쳐야 하는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김소월, ‘초혼’)인 것이다.
이야기의 운명과 그 사회적 구성에 대한 흥미진진한 통찰을 보여주는 이기호의 소설집에는 이야기와 이름을 둘러싼 소설이 많다. 단편 ‘행정동’의 주인공은 아버지가 지도교수를 끝없이 조른 덕에 대학 행정실의 임시직 일을 맡게 된 사람이다. 그가 하는 일은 오래된 학적부를 전산프로그램에 입력·수정하는 작업이다. 그것은 등기된 이름을 다시 등재하는 일이면서, 이름을 지우고 다시 입력하는 일이다. 재입력되는 이름은 “마치 커다란 비밀처럼만 여겨졌다. 아무도 모르는, 이제는 알려고 해도 알 수 없는” 그런 이름이다. 정규직이 되기 위해 몰래 야근을 해야 하는 ‘자기 착취’의 상황에서 이런 작업은, 오늘날 ‘개인성’이 처한 위태로운 위치를 건조하고 날카롭게 보여준다. 함께 근무하는 여자와 심야 소동을 겪은 뒤 그는, “학적부의 숫자들이 사실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서류란 원래 사실이 필요해서, 사실을 만들어내기 위해, 작성된 것이니까.” 이름을 둘러싼 서류상의 ‘사실’은 등재를 위한 사실에 불과하지만, 그 제도적 사실은 힘이 세다. 국가가 이름을 관리하는 주민등록이나 가족관계증명서 위에 작동하는 공허하지만 강력한 힘 같은 것들.
삶의 실재와 그 세부들은 기록할 수 없으며, 등기된 이름은 그 안에 커다란 공백을 남긴다. 이름은 그 사람의 내밀한 고유성에 대해 아무것도 담보해주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름이라는 고유명사를 삭제하고 그 사람을 생각할 수는 없다. 당신의 이름은 뼈아픈 비밀과 같고, ‘나’는 결코 ‘당신’이라는 단 하나의 이름에 닿을 수 없다. 그 사람의 영혼과 삶을 정확하게 요약하는 이름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부서진 이름 하나를 되뇌는 순간은 아직 남아 있다. 이름은 불가능하지만, 또한 불가피하다. ‘당신’에게 꼭 어울리는 이름은 없어요.
문학평론가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해뜰날’ 가수 송대관 별세
“부당 지시 왜 따랐냐”…윤석열 ‘유체이탈’ [2월7일 뉴스뷰리핑]
“더 시추해야” “문재인 때 계획”…국힘, 대왕고래 실패에 당혹
“부당 지시 왜 따랐냐 묻는 윤석열, 사람 바닥 보는 듯”
내란사태 2달…군 서열 ‘넘버 9’ 김선호 국방차관의 재발견
‘새벽 지진’에 중대본 가동… 충주 앙성면 규모 3.1
눈길 견인차에 치여 버스기사 숨져…폭설·한파에 사고 속출
“윤석열도 사전투표 합니다” 했던 국힘의 ‘부정선거 음모론’ 올라타기
140억배럴 산유국 ‘헛꿈’…석유·가스 개발 “원점 재검토해야”
“삐~ 삐~” 한밤 중 재난문자 알고 보니…충북 충주 3.1 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