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수현 기자 groove@hani.co.kr
친구에게 ‘요새 하루라도 듣지 않으면 입 안에 가시가 돋치는 음악이 있다’고 고백했다. “뭔데?” “쥬얼리의 <슈퍼스타>.” “요즘 텔레비전, 라디오 틀 때마다 (지겹게) 나오던데.” “국민가요라니까.”
처음 그 노래가 귀에 꽂힌 날의 풍경은 잠실 야구장. 노릇한 저녁 냄새를 피우는 푸른 잔디에 앉아 ‘소릴 높여봐’라는 언니들의 계시를 듣는 순간, 기분이 다섯 계단 상승했다. 인터넷을 몸 안의 칩으로 간주하고 사는 이 몸은 검색창으로 ‘지쳐 있던 모든 것을 버려’라고 설득하던 그들이 쥬얼리였음을 알게 됐다. 4월 초 그때, 내가 기사를 써야 했다.
나 홀로 설치한 ‘아이템 자가 검열기’ 덕분에 쥬얼리를 만날 생각은 하지 못한 채 매일 뮤직비디오를 봤다. 야구장에서도, ‘나이트’에서도, 리어카에서도 어울린다. 보편성 90점. ‘미친 듯이 밤새 춤추자’는 정도는 오늘 밤 날 가지라는 끈끈이 가사들에 비하면 씩씩하고 예쁘다. 건전성 90점. 응원단처럼 힘차게 뻗는 손발 동작은 국민체조다.
영상의 코드들이 은밀한 전략인지는 모르겠다. OL(오피스레이디), 보이시 걸, 엉금엉금 핫팬츠, 오토바이족. 하지만 가수 ‘하유선’이 에로배우 ‘하소연’을 버리고 노래
그런데 사실 만남을 망설인 이유는 따로 있었다. 물어봐야 할 것 같은데 정말 물어봐야 하는지 알 수 없는 질문 두 가지. 멤버 중 한명이 팝송 <2 become 1>의 가사 ‘get it on’을 ‘게리롱’이라고 발음해버린 문제의 동영상이 ‘게리롱 푸리롱 사건’이라 명명되어 마구 떠돌고 있는데, 가십은 명확하고 독자들은 그저 궁금할 텐데, 당사자에게 소감을 물어야 할까. 하지만 피차 내 발음도 그런 걸 또 희화화할 것까지야. 고민. 또 다른 질문은 ‘<슈퍼스타>는 스티비 원더의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윤석열, 나랏돈으로 캣타워 500만원에 ‘히노키 욕조’ 2천만원
윤석열 40분간 “계엄은 평화적 메시지”…판사도 발언 ‘시간조절’ 당부
윤석열, 검찰 향해 “무논리 모자이크 공소장”…법원에도 “중구난방”
청와대 인산인해…“대선 뒤 못 올지도” “용산으로 왜 옮겼는지 의문”
구속 취소, 촬영 불허, 직업 대독...지귀연 판사, 윤석열 봐주기 구설
스포츠윤리센터, 유승민 징계 요청…“탁구협회 후원금 유치 근거 없어”
공수처 인사위원이 한덕수 고소…“검사 7명 임명 미뤄 직무유기”
[뉴스 다이브] 분노 유발 윤석열과 내란 옹호 의심되는 지귀연 재판부
말 바꾼 윤석열 “계엄 길어야 하루”…헌재선 “며칠 예상”
트럼프 “대선 출마?” 한덕수와 통화 유출…“기밀누설 조사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