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둘래 기자 anyone@hani.co.kr
무라카미 하루키는 1978년 어느 날 야구 경기를 보다가 데이브 힐턴이 2루타를 치는 것을 보고 문득 소설을 쓰겠다고 결심했다고 한다. 폴 오스터 식으로 말하자면 우연과 우연을 거듭해 우주만물이 이상스럽게 동화하는 순간, 그 시간을 겪고 나면 그 이후가 그 이전과는 같을 수 없는 순간, 그러한 ‘결정적 순간’이 있다. 나같이 볼품없는 사람에게는 결정적 순간이 미용실에서 머리를 감겨주는 순간이나 사춘기 때 커피물을 끓이다 언니의 이야기를 엿들었던 순간 등으로 별게 없다. 하지만 대단한 일에는 대단한 일다운 결정적 순간이 있다고 믿는다. 그런 순간에 아르키메데스는 “유레카”를 외쳤다.
〈PD수첩〉의 진심을 사람들이 알아주는 데 걸린 시간은 오지 않을 것처럼 길었다. 문화방송은 애초부터 황우석 관련 취재를 하다가 알게 된 ‘난자 제공 의혹’만을 방영하고 본편에 해당하는 ‘논문 진위 논란’은 방영하지 않을 계획이었다고 한다. 〈PD수첩〉은 돌팔매를 맞았지만 그 시간은 〈PD수첩〉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국인들이 단련되는 시간이기도 했다. 결국 〈PD수첩〉의 이름으로는 아니지만 특집으로 방송되었다. 방영 여부와 관계없이 나는 다음 순간에 한학수 PD는 진심을 보상받았으리라 생각한다. ‘〈PD수첩〉은 왜 재검증을 요구했는가’에서 한 PD는 황 교수에게 “올해 11개 만들어진 환자 유래 줄기세포가 배반포 단계에서 줄기세포가 확립된 건 언제인지 혹시 기억나십니까”라고 질문한다. 이 말에 황 교수는 당황한 순간에도 여유로운 특유의 영웅(또는 의뭉)스런 목소리로 “한 선생님, 다음부터는 철두철미하게 할게요. 이젠 이 세상이 이렇게 무섭다는 걸 알았으니까 이젠 할게요”라는 말한다. 바로 그 순간 한 PD는 “유레카”를 불렀을 것이다.
정당했다면 황 교수의 2005년 논문에도 유레카의 순간이 있었을 것이다. 지루한 실험 과정, 아침저녁으로 눈을 부라리고 티끌만큼씩 자라는 세포를 보는 숨막히게 고단한 과정, 그 과정을 견디게 해주는 건 작은 결정적인 순간일 것이다. 줄기세포가 확립되고 그것이 테라토마를 거치며 줄기세포로 증명되는 결정적인 순간. 체세포와 줄기세포의 피크가 동일하다는 DNA 핑거프린팅은 그중에서도 결정적인 순간이리라. DNA 검사를 맡긴 뒤 수술 대기실의 환자 가족처럼 초조하게 기다렸을 것이고, 분석실에서 온 봉투를 뜯는 손은 떨렸을 것이다. <사이언스>에 논문이 실리고 세계적 권위자가 덕담을 하고 대통령이 초대하고 국민들이 열광한 것도 이 순간을 넘어서지는 못할 것이다. 황 교수가 내놓은 것은 위대한 논문이었지만 그 안에 위대한 결정적 순간은 없었다. 황 교수는 학자를 이끄는 원초적 동력인 ‘결정적 순간’의 환희를 포기한 것이다. 황 교수에게 연민이 느껴진다면 그 때문이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속보] 미국, 한국 25% 등 상호관세 발효…중국엔 104%
우원식 “개헌 논의 미루자…한덕수가 정국 혼란 야기”
계엄 직후 “사인으로 돌아가겠다”던 이완규, 이제는 ‘사퇴 거부’
“김건희 면박에 강아지 안고 웃기만”…윤석열 캠프 대변인 증언
홍준표 “용산 대통령실은 불통·주술의 상징…다시 청와대로”
이재명 ‘대표’의 마지막 지시는 ‘이완규 임명 저지와 추경’
너도 가담했지? [그림판]
마은혁 헌법재판관 취임…“민주공화국 흔들리지 않도록 힘 보태겠다”
대선 출마 이재명, 당대표 사퇴…“국민과 역경 함께하겠다”
김이수 전 헌법재판관 “윤 파면, 헌재 내부 상당한 논쟁 있었던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