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카소 작품 한 점에 1억7940만달러를 내겠다고 한 사람이 누구인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이 있습니다. 천정부지로 뛰어오르는 미술품 가격은 세계적인 불평등의 심화와 관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지난 5월13일 는 피카소나 자코메티 작품의 공급은 한정돼 있는 반면, 이 수준의 작품을 살 수 있는 사람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미술품뿐 아니라 영국 런던 중심가의 고급 주택이나 미국 뉴욕 센트럴파크 옆의 고급 아파트, 1982년산 보르도 고급 와인도 마찬가지입니다. 특히 소득 상위 0.01%에 해당하는 갑부들의 부는 다른 어떤 소득 계층보다도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습니다. S&P 500 지수가 215% 오르는 동안, 피카소 작품의 가격이 462% 오른 데는 이런 배경이 있습니다.
Q2 ‘합리적이지 않은 소비’에는 이익이 있다?
지난 5월8일 미국 시카고대학 교수이자 행동경제학자인 리처드 세일러 교수는 에 쓴 칼럼을 통해 합리적인 인간을 가정한 호모 이코노미쿠스(*Homo Economicus*)의 허점을 꼬집었습니다. 합리성만을 가정하는 경제학의 오래된 전통은 실제 사람들이 행동하고 판단을 내리는 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들을 ‘상관없는’ 요인들이라며 간과해왔습니다. 경제학자들은 사람들이 합리적이지 않다는 걸 알면서도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이 이를 조정해 합리적인 선택을 유도할 것이라고 맹신해왔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에게 작은 ‘너지’(Nudge·타인의 행동을 유도하는 부드러운 개입)를 하는 것만으로도 비용 절감은 물론 더 효율적인 정책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 퇴직연금을 비롯한 여러 사례를 통해 입증됐습니다. 행동경제학자들은 지금까지 주류 경제학에서 간과했던 요인들을 다시 살펴봄으로써 그간 되풀이해 범했던 오류를 고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Q3 홍역백신은 만병예방약?
지난 수십 년간 홍역백신을 도입한 국가에서는 다른 모든 전염병의 사망률이 덩달아 낮아졌습니다. 그러나 그 이유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지난 5월7일 <npr>는 에 발표된 이 문제에 대한 유력한 설명을 소개했습니다. 미국 프린스턴대학의 마이클 미나는 1940년대부터의 미국을 포함한 몇 나라의 유행병 자료를 모았고, 그 결과 홍역 발병 환자의 수와 그 시점으로부터 2~3년 뒤 다른 전염병 사망자의 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발견했습니다. 이는 동물실험을 통해 알려진, 홍역바이러스가 다른 질병에 대한 면역 능력을 제거한다는 사실과 일치하는 자료입니다. 곧 홍역백신은 홍역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른 질병으로 인한 사망도 막아주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이제 백신을 맞아야 할 이유가 하나 더 생긴 셈입니다.
Q4 이스라엘 불매운동은 반유대주의인가?
뉴스페퍼민트
</np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권영세 “‘공수처 굴종’ 검찰총장 사퇴하라”…국힘, 검찰 일제히 비판
‘윤석열 친구’ 선관위 사무총장도 ‘부정선거론’ 반박했다
‘내란의 밤’ 빗발친 전화 속 질문…시민들이 가장 두려워한 것은
‘윤석열 충암고 동창’ 정재호 주중대사, 탄핵정국 속 이임식
“새해 벌 많이 받으세요”…국힘 외면하는 설 민심
서부지법, ‘윤석열 영장판사 탄핵집회 참석 주장’ 신평 고발
‘뿔 달린 전광훈 현수막’ 소송…대법 “공인으로 감당해야 할 정도”
서부지법서 ‘기자 폭행·카메라 파손’ 1명 구속…‘강도상해’ 혐의
전도사 “빨갱이 잡으러 법원 침투”…‘전광훈 영향’ 광폭 수사
이재명 vs 국힘 대선주자 초박빙…박근혜 탄핵 때와 다른 판세,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