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춘재 기자 cjlee@hani.co.kr
한번쯤 붉은 티를 입어보지 않은 시민이 없었다던 지난 2002년 6월, 나는 단 한번도 ‘붉은 악마’가 되지 못했다. 취재를 위해 일본에 가 있었기 때문이다. 기사 마감을 끝내고 요코하마의 작은 호텔방에서 TV에 비친 붉은 악마들을 보며 ‘고향’ 생각을 얼마나 했는지 모른다. 본사에 전화를 할 때마다 한국에서 신명나게 취재를 하고 있는 동료들이 마냥 부러웠다.
그렇다고 붉은 악마가 느꼈던 가슴 뭉클한 감동까지 놓쳤던 것은 아니다. 감동에 통쾌함까지 더해져 그 강도는 더욱 컸다. 한국 기자들을 만날 때마다 “너희가 축구를 아느냐?”며 기고만장했던 유럽의 ‘축구전문’ 기자들이 경기가 진행될수록 서서히 변해가는 모습은, 이탈리아전에서 터진 안정환의 역전골보다 더 통쾌했다. 그날 밤 금발의 여기자가 다가와 안정환에 대해 물을 때의 그 ‘친근한’ 표정을 나는 지금도 잊을 수 없다. 그는 월드컵 개막 직후 한국의 16강 전망을 묻는 내게 “시간없다”고 차갑게 대꾸한 기자였다.
K리그가 개막했다. 프로축구는 그 나라 축구의 토양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프로 리그가 활성화돼야 그 나라 축구의 수준이 올라간다고 한다. 올 시즌에는 박주영이라는 걸출한 신인이 가세해 그 어느 때보다 박진감이 넘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낮에는 제법 따스한 기운이 감도는 요즘 가족과 함께 축구장을 한번 찾아보면 어떨까. 3년 전 ‘붉은 악마’가 느꼈던 감동이 내년에도 재현되기를 꿈꾸면서. 단, 축구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불순한 의도는 경계하면서 말이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린샤오쥔 ‘금’ 위해…중국 팀 동료 ‘밀어주기’ 반칙 정황
시민 10만명, 체감 -10도에도 “내란 안 끝나” 분노의 집회
“작은 윤석열까지 몰아내자” 대학생들 극우 비판 시국선언 [영상]
한국, AG 첫날 금메달 7개 ‘콧노래’…2005·2006년생 ‘씽씽’
당신은 치매 걸릴 준비를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txt]
박지원 “고래싸움에 새우 등? 대왕고래에 윤석열 등 터져”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건물도면 올리고 “척살” 선동…‘헌재 난동’ 모의 커뮤니티 수사
500m 금 따고 통곡한 린샤오쥔…중국에 쇼트트랙 첫 금메달
트럼프 “말도 안 되는 종이 빨대…플라스틱으로 돌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