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춘재 기자 cjlee@hani.co.kr
학교 급식이 시행되기 전 도시락은 학창생활의 또 다른 즐거움이었다. 식욕을 채우는 본능적 즐거움도 컸지만 도시락을 함께 먹으며 나누는 얘기는 삭막한 학교 생활의 활력소가 됐다. 집에서는 볼 수 없는, 잘사는 집 아이들의 귀한 반찬을 맛보는 재미도 쏠쏠했다. 3교시 쉬는 시간에 도시락을 다 까먹고는 교실을 한 바퀴 돌아 자기가 싸왔던 도시락보다 더 거한 ‘성찬’을 만들어먹는 얌체족도 잊지 못할 추억이었다.
추운 겨울에는 조개탄 난로에 도시락을 데워먹는 맛도 그만이었다. 양은 도시락의 3분의 1가량에 볶은 김치를 함께 담아 데운 뒤, 도시락을 위아래로 마구 흔들면 훌륭한 김치볶음밥이 만들어졌다. 초등학교 때 여자 짝꿍과의 서먹한 분위기를 단숨에 날려버린 것도, 팍팍한 고3 교실에 그나마 웃음소리가 흘러나온 것도 도시락이 있기에 가능했다.
도시락은 급우들의 경제적 수준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짝궁의 ‘가정환경 조사서’를 굳이 훔쳐볼 필요가 없었다. 소시지나 햄을 즐겨 싸오던 아이의 아버지 직업란에는 ‘회사원’이나 ‘공무원’이 적혀 있었고, 김치 냄새만 풍기던 아이의 그곳에는 어김없이 ‘막노동’이라고 쓰여 있었다. 그러나 김치만 싸온 아이도, 하얀 쌀밥 대신 보리밥을 담아온 아이도 결코 서럽지 않았다. 그 도시락에는 어머니의 정성과 사랑이 듬뿍 담겨 있었기 때문이다.
‘부실 도시락’ 사건으로 전국이 떠들썩하다. 도시락 원가가 얼마라느니 예산이 부족하다느니 말들이 많지만, 그 도시락을 ‘부실 도시락’이라 부르는 이유는 다른 데 있지 않다. 보리밥 한 주걱, 김치 한 조각이라도 정성스레 담던 어머니의 사랑이 그곳에는 빠져 있다. 그 ‘부실’은 결식 아이들에게 큰 ‘상처’로 남고 말았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 연락 안 받는 사연 [그림판]
군복 벗은 노상원, ‘김용현 뒷배’ 업고 장군들 불러 내란 모의
[단독] 여인형 “윤, 계엄 사흘 전 국회에 격노…작년부터 언급”
한덕수, 내란·김건희 특검법엔 시간 끌며 눈치 보나
“닥쳐라” 김용원이 또…기자 퇴장시킨 뒤 인권위원에 막말
[속보] 검찰, ‘계엄 체포조 지원’ 혐의 경찰 국수본 압수수색
[단독] 백해룡의 폭로… 검찰 마약수사 직무유기 정황 포착
현실의 응시자, 정아은 작가 별세…향년 49
[단독] 국회 부수고 “헌법 따른 것”…계엄군 정신교육 증언 나왔다
탄핵 탓하는 권성동 “기각 땐 발의·표결 의원 처벌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