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재 기자 cjlee@hani.co.kr
새 옷을 갈아입은 서울 시내버스는 과연 ‘서민의 발’로 거듭 태어날 수 있을까. 서울시와 시내버스 회사들은 요즘 수능시험을 앞둔 고3 수험생처럼 가슴이 설렌다. 2년여 동안 ‘불철주야’ 준비해온 새 시내버스 시스템에 대한 ‘성적표’가 곧 나올 것이기 때문이다.

7월1일부터 새 번호판을 달고 등장할 서울 시내버스가 앞으로 상당 기간 혼란을 일으킬 것은 당연하다. 수십년 동안의 관행을 하루아침에 바꾸는데 어찌 ‘잡음’이 없을 수 있겠는가. 그 혼란을 최소화하는 게 서울시와 버스회사들의 임무다. 서울시 교통기획과 정수영 팀장은 “시민들의 혼란은 한동안 불가피하지만, 새 시스템에 익숙해지면 정말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체계임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있게 말했다. 서울시는 시민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화(080-800-5656)와 인터넷(www.bus.seoul.go.kr)으로 바뀐 번호와 노선을 안내해주고 있다. 정 팀장은 “평소 자주 이용하던 버스의 바뀐 정보를 미리 파악하면 버스 이용에 전혀 불편이 없다”며 시민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광고
새 시내버스 시스템은 그야말로 우여곡절 끝에 탄생했다. ‘물 좋은’ 노선을 서로 차지하려는 버스회사들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게 가장 힘든 작업이었다. 높은 이윤이 보장된 노선은 일종의 사유재산처럼 ‘상속’되기도 했는데, 서울시는 이번에 노선권을 버스회사들로부터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 버스회사들은 처음에는 반발했지만, 시민단체들의 합리적인 요구를 더 이상 외면할 수 없었다. 경실련과 서울YMCA 등 시민단체들이 참가한 버스개혁시민위원회의 ‘압력’에 버스회사들도 결국 두 손을 들고 말았다. 서울시 관계자는 “통합요금 체계로 손해를 보는 시민들도 일부 있지만, 사회통합과 공익 차원에서 널리 이해해주시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새 시내버스 시스템의 성공 여부는 시민들의 ‘이해’보다 서울시와 버스회사들의 ‘노력’에 달려 있다.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얼마나 노력하는지에 따라 새 시스템의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 시민들은, 당국이 성의를 다했지만 어쩔 수 없이 빚어진 ‘혼란’은 참겠지만 한순간의 ‘무성의’는 결코 참아주지 않기 때문이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나무 꺾다 라이터로 태우려…” 의성 산불 최초 발화 의심 50대 입건
윤석열 탄핵심판 4월18일 넘기는 ‘최악 경우의수’ 우려까지
산 정상에 기름을 통째로…경찰, 화성 태행산 용의자 추적
한덕수 ‘마은혁 임명’ 굳게 닫힌 입…윤 복귀 위한 ‘위헌 버티기’ 비판
문재인 전 대통령 “계엄내란 광기의 원형, 제주 4·3서 찾을 수 있어”
산청 산불 213시간 34분 만에 주불 잡혀…역대 두번째 ‘긴 산불’
정부 10조원 추경 추진…여 “동의”, 야 “효과 의문”
이재명, 풍자 그림 올리며 “조작인가, 아닌가”…국힘 비판 반박
[속보] 최상목 “10조원 필수 추경 추진…여야 동의해 달라”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