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유해발굴반이 말하는 의 오류… 진석의 만년필은 왜 부식 안 되나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육군 유해발굴반도 를 단체관람했다. 그런데 이들은 영화 내용 중 실제와 다른 부분이 있다고 말한다.
△ 진태의 유해를 국군으로 판정
광고
영화에서 진태(장동건)의 유해는 국군으로 분류되지만 현실이라면 인민군으로 분류된다. 진태가 인민군 복장을 한 채 인민군 기관총을 쏘다 숨졌기 때문이다.
박선주 충북대 교수는 “한국전쟁은 같은 민족끼리 다른 군복을 입고 치른 전쟁이다. 발굴된 유해만 놓고 피아 구별을 할 수 없다. 더구나 국군과 북한군 유해가 뒤엉켜 있다면 구별할 방법이 있겠는가. 국군인지 북한군인지는 제복이나 모자, 단추, 무기 등 함께 발굴된 유품을 보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유해와 함께 M1 총알이나 칼빈 총알, 미제 수류탄 등 각종 미제 장비가 발견되면 국군이다. 한편 ‘평양’ ‘승리’ 같은 마크가 찍힌 통일화, TT권총탄 같은 옛 소련제 장비, 놋숟가락, 모자에 붙이는 별표 표지가 발견되면 인민군으로 분류된다. 인민군으로 분류된 유해는 경기도 파주 적군 묘지에 매장한다.
광고
△ 만년필 색깔이 그대로
영화에서는 진석(원빈)의 이름이 새겨진 만년필이 발견된다. 50년 만에 햇빛을 본 이 만년필은 깔끔한 은회색이다.
하지만 실제 만년필, 펜촉, 연필칼 같은 금속 제품은 녹슬거나 부식된 상태로 발굴된다.
박선주 교수는 “50년 넘게 흙 속에 묻힌 금속제 만년필은 퇴색해서 원래 색을 유지할 수 없다. 영화에서는 화면 효과를 위해 일부러 변색을 하지 않았던 것 같다”고 말했다.
광고
△ 최첨단 장비를 갖춘 유해발굴반
영화에서는 진태의 유해를 발굴하자 현장에서 발굴반원이 바로 노트북으로 한국전쟁 참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해 신원을 확인한다. 발굴 현장에서 랜을 사용할 수 있고 참전자 데이터베이스로 사진을 검색했다.
하지만 실제 육군 유해발굴반은 첨단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갖추지 못했다. 영화의 장면은 희망사항이다.
진짜 유해발굴반 병사들은 삽과 탐침봉, 곡괭이, 붓, 낫 등을 들고 험한 산을 오르내리며 땅을 파야 한다. 이들은 부족한 장비를 ‘내 조상 묘를 찾는다’는 사명감으로 메우고 있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한덕수 뽑은 국민 아무도 없다, 헌법재판관 지명 ‘월권’ 파문
한덕수, 마은혁 임명…문형배·이미선 후임에 이완규·함상훈 지명
헌법재판관에 ‘내란 연루’ 의혹 이완규 지명한 한덕수
6월3일 대선 확정…임시공휴일 지정
한덕수 ‘헌법재판관 후임 지명’에 야권 “모든 카드 동원 저지”
관저에서 짐 빼는 윤석열…11일에야 한남동 떠날 듯
윤석열 측근 검찰주의자를 헌법재판관에…파면되고도 ‘유훈통치’
이젠 국민이 ‘윤석열 한남동 퇴거 날짜’까지 세어야 하나? [4월8일 뉴스뷰리핑]
김동연·유정복 9일 대선출마 선언…오세훈도 주내 출사표
시민단체 “전광훈 구속해야”…경찰 “모든 가능성 열고 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