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2월17일 촬영된 이탈리아 베네치아 운하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남극의 해빙 면적이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다.
국립빙설데이터센터(NSIDC)는 2023년 2월13일 남극의 1월 해빙 면적이 191만㎢를 기록해 2022년 2월25일 최저치였던 192만㎢보다 또 줄어들었다고 보고했다. 1978년 인공위성이 해빙을 모니터링하기 시작한 이래, 해빙 면적이 200만㎢ 이하로 줄어든 건 지난 2년여가 처음이다.
남극 해빙이 줄어들었다는 사실은 북극 해빙 감소와 또 다른 의미가 있다. 북극이 ‘대륙으로 둘러싸인 바다’라면, 남극은 ‘바다로 둘러싸인 대륙’ 형태다. 이 때문에 해빙 감소 양상이 남극에선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2016년 급격한 변화가 시작됐다. 미국 볼더 콜로라도대학 빙하학자 테드 스캠보스 교수는 <시엔엔>(CNN)과 한 인터뷰에서 “(이번 기록의 의미는) 단순히 최저치라는 데 그치는 게 아니다”며 “매우 가파른 하락 추세”인 점을 우려했다. 독일 알프레트 베게너 연구소의 해빙물리연구부 책임자 크리스티안 하스도 “문제는 기후변화가 남극 대륙에 도달했느냐는 것”이라며 “이것이 끝(종말)의 시작인지, 다가오는 여름엔 해빙이 아예 사라지는 게 아닌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남극 해빙이 감소한 원인으로는 바람, 해류, 해열 등이 꼽히는데, 그 가운데서도 남극 일부 지역 평균기온이 평소보다 섭씨 1.5도 정도 높아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한편 ‘아름다운 물의 도시’로 부르는 이탈리아 베네치아 운하는 가뭄·썰물 등으로 마른 바닥을 드러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2월21일 곤돌라 운영이 중단된 상황을 전하며 “이탈리아 여러 강, 호수에 심각한 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이탈리아에서 가장 긴 강인 포강은 연중 이맘때보다 물이 61% 줄었다”고 보도했다.
손고운 기자 songon11@hani.co.kr
*뉴스 큐레이터: <한겨레21> 기자들이 이주의 놓치지 않았으면 하는 뉴스를 추천합니다.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수사권 ‘꼼수 시행령’ 개정 목소리…꿈쩍않는 법무부
검찰, ‘테라’ 권도형 범죄인 인도 청구…미국으로 보내질 수도
개그맨 박성광의 영화감독 도전작 ‘웅남이’ 평가는요…
‘미스터트롯’ 정동원, 자동차 전용도로서 오토바이 몰다 적발
‘청년 의견 왜 골라 듣나’…간담회 돌연 전면 비공개한 노동부
‘불법 OTT’ 누누티비 “모든 국내 콘텐츠 내리겠다”
‘500억 알박기 기적’ 전광훈 교회, 이번엔 사우나 건물 매입?
자충수된 한동훈의 ‘수사권 지키기’…이제 헌법상 권한 주장도 못한다
북, ‘방사능 쓰나미’ 공격 시험…윤 대통령 “대가 치를 것”
“육아휴직 다녀오니 탕비실·비품 관리나 하라는데 어쩌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