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강산 비판적 사고와 비난적 사설
‘기간제’ 교사가 된 뒤, 사설을 활용한 수업을 해보려고 여러 신문의 사설을 모아보다가 학생들에게 그리 유용하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는 논리적 글보다 감정 섞인 비난에 가까운 글이 많았기 때문이다. 냉철한 비판을 넘어 냉혹한 비난에 가까운 사설은 진영 논리에 갇힌 한국 언론의 자화상이다. 그런 점에서 앞에 실린 신영복 선생의 옛 칼럼이 더욱 반가웠다. (▶관련 기사 '‘장년 신영복’의 날카로운 사유')
광고
어고은 사태가 아닌 효과
국경을 해체하는 초국가적 연대가 가능하리라 예상했던 한류가, 실은 전통적 의미의 국가를 전혀 뛰어넘지 못하고 있음을 ‘쯔위 사태’가 여실히 보여줬다. 판타지에 기댄 채 민감한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엔터테인먼트사는 16살 소속 가수를 벼랑 끝으로 내몰았다. 자본만 좇을 것이 아니라 케이팝 산업의 위치를 되돌아보고 성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관련 기사 '쯔위 사태? 대만 ‘22K 세대’의 분노!')
※카카오톡에서 을 선물하세요 :) ▶ 바로가기 (모바일에서만 가능합니다)
광고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권성동, 질문하는 기자 손목 잡아채 끌고 가 “지라시 취재는 거부”
[단독] ‘윤석열 출금’ 출입국본부장, 박성재 장관 복귀 뒤 돌연 사직
효력 정지된 한덕수의 도발, ‘대망론’도 함께 꺼지나
헌재가 진압한 ‘이완규 알박기’...“대선 전 본안 판단 어려워”
인간 치아 만들기 성공…“임플란트보다 튼튼, 거부반응 없다”
인도·파키스탄 벌써 49도…2050년 ‘생존 불가능 온도’ 될 수도
백악관 “대중 관세 최대 245%” 과시형 공세…중 “웃기는 숫자놀음”
중국엔 안 통하는 트럼프식 거래 기술…“갈등 커질수록 미국 불리”
쫄았지? 쫄았잖아? [그림판]
‘김건희 명예훼손 혐의’ 진혜원 검사, 항소심서도 무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