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종묘 망묘루 내부. 국가유산청 제공
김건희 여사가 2024년 9월3일 서울 종묘에서 외부인들과 차담회를 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어지간한 사건은 명함조차 내밀지 못하는 12·3 윤석열 내란사태 국면에서, 대통령 배우자의 석 달 전 차담회가 그나마 관심을 끄는 데는 나름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차담회 날이 일반인은 관람할 수 없는 휴관일이었다. 둘째, 차담회 공간인 망묘루는 미개방 건물이다. 망묘루는 조선시대 종묘 관원들의 업무 공간으로, 국가유산청(옛 문화재청)이 2024년 5월 한시적으로 특별 개방한 적이 있다. 셋째, 차담회에 이용된 찻상과 의자는 종묘관리소 직원들이 각별히 경복궁과 창덕궁에서 따로따로 빌려왔고, 무슨 일인지 창덕궁에서 온 의자는 여태 되돌려주지 않고 있다고 한다. 무엇보다 김 여사의 그날 차담회가 공적 일정인지 개인 일정인지조차 확인되지 않고 있다. 김 여사 일행은 외국인 남녀 2명과 스님, 신부 각 1명씩 등 모두 6명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김윤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의 관련 질의에 “방문 목적과 취지는 경호 및 보안상 이유로 알려줄 수 없다”고 답했다. 이 행사와 관련한 내부 협의 내용과 대통령실과 주고받은 공문서 사본 요청에는 “대통령실의 구두 협조 요청에 따라 진행되어, 관련 서류는 별도로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역대 정부와 현 정부 모두 대통령실 행사의 경우 궁능 장소 사용에 관례적으로 예외를 적용해왔다”고 굳이 덧붙였다. 김윤덕 의원실은 12월11일 “국가 주요 사적을 개인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명백한 규정 위반인 만큼 어떤 목적으로 이용했는지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광고
종묘는 1995년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과 함께 한국 최초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안영춘 기자 jona@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 파면 이틀째 ‘관저정치’ 중…“대통령 아니라 집단 보스”
이재명은 잘할 수 있을까…윤석열과 반대로 하면 성공할 수 있다
‘윤석열 파면’에 길에서 오열한 김상욱 “4월4일을 국경일로”
“주가폭락에 퇴직연금 증발 중…트럼프는 골프 중” 부글대는 미국
‘탄핵 불복’ 이장우 대전시장, 윤석열 파면 뒤 “시민 보호 최선” 돌변
“대통령 파면하는 게 민주주의냐” 김문수, 대선 출마 시사
“토하고 또 토했다…그래도 큐를 놓을 수 없었다”
윤석열, 박근혜보다 관저퇴거 늦어질 듯…“이번 주말은 넘겨야”
윤석열, 오늘은 나경원 1시간가량 독대 “고맙다, 수고했다”
세계가 놀란 ‘민주주의 열정’, 새로운 도약의 불꽃으로